[함철훈의 사진 이야기]
우리에게는 어떤 인류도 경험하지 못했던 어마어마한 길들이 펼쳐져 있다.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길은 당연한 듯하지만 생각할수록 경이롭다. 단순한 길이든 먼 길이든 길이라면 출발지와 도착지는 있어야 한다. 더구나 끊어져서는 안 된다. 그런 길은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쉬지 않고 꿈틀대며 흐르고 있다. 물리적인 길도 확장되고 있을 뿐 아니라, 길의 개념도 넓어지고 있다. 이미 많은 길이 있는데도 새로운 길은 여전히 열리고 뜸한 길은 닫히고 있다. 비행기 길도, 뱃길도, 정상을 향한 길도, 꼭대기에 오르기보다 빙 둘러가는 둘레길도 이 나라에서도 저 고을에서도 유행처럼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 길을 찾아다니던 나는 1990년 초, 오래 사용하지 않아 이름만 있고 오히려 끊긴 길을 찾아 나섰다. 비단길이었다. 그 길을 취재하며 카라코람 하이웨이라 불리는 산중 하늘길을 따라 흐르는 인더스 강에 닿았다. 파미르 고원을 넘어 중국과 파키스탄의 국경을 지나 일주일을 쉬지 않고 물과 함께 내려가는 그 길이 내겐 충격이었다. 수시로 그 길들의 여러 모양이 가끔 꿈에 나타난다. 최근에도 난 그 길을 꿈에서 보았다. 세계 3대 산맥인 카라코람, 힌두쿠시, 히말라야가 모인 자리에 우뚝 솟은 하나의 바윗덩어리 낭가파르바트! 그 자체의 높이만으로도 끝이 보이지 않으리라 짐작했는데 중턱에 구름이 걸려 있다. 신들이 음식을 만드느라 생긴 연기가 구름이란다. 그렇게 속세와 단절된 정상이 구름 사이로 살짝 보이며 푸른 하늘과 잿빛 바위가 아득하다. 자꾸 뒤돌아보며 내려가던 길이 아련하다.
이곳이 바로 우리 조상들의 시간과 공간이 묻혀 있는 비단길 중 가장 험준한 실크로드의 한 자락이다. 나는 경주에서 로마로 이어진 사연 많고 한까지 맺힌 우리의 그 비단길을 이스탄불 시장의 초대 사진전으로 연결시켰다. 2011년 가을, 이스탄불 탁심공화국 예술 갤러리 막셈(Taksim Cumhuiyet Sanat Galerisi-Maksem)에서 개최된 <우리가 만난 바람과 물-풍류 이스탄불 전>을 통해서다. 이 전시를 주최한 카디르 돕바쉬 이스탄불 시장은 초대장에서 비단길의 종착점을 로마로, 출발지를 서라벌로 연결시켰다. 더구나 전시의 주제가 멈추지 않고 형체가 없는 바람과 물을 주제로 한 풍류였기에, 왜곡된 우리의 조선과 고려를 넘어 신라와 대진국, 백제, 고구려, 가야, 북부여, 고조선 배달겨레를 관통하는 중앙아시아 나라들과 연결된 시간과 공간의 뿌리를 확장할 수 있었다. 오래된 미래가 유전된 풍류의 맥은 앞으로 21세기 아시아와 유럽이 하나로 연결되었던 아름답고 부드러운 새 시대의 비단길을 다시 이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요즘 세상에서는 가상공간의 길이 고전적 개념의 실제 길보다 더 유용하고 바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원거리 통신이나 방송국에서 쏜, 한 방향으로만 흐르던 일방적 전파의 길도 이젠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다자간의 형태로 엉켜 전 인류를 하나로 묶는 길을 내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어디라도 길을 만들 수 있게 된 세상이다. 이제 원하는 모든 길은 준비되었다. 더 이상 하드웨어적인 길은 문제될 것이 없는 세상이다. 길은 태생적으로 도구와 효용의 성격이 강하다. 길이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문제는 준비된 그 길에 ‘무엇을 싣고 갈 것이며, 무엇을 전할 것인가?’라는 소프트웨어적 가치다. 우리 어른들이 얘기했던 만남을 위한 장이 길 자체보다 중요해진 시대에 우린 살고 있다. 만남과 교류를 위한 신시(神市)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피부색과 민족을 넘어 상대를 존중하는 성숙한 만남, 새로운 생각과 서로의 아름다움을 인정하고 나누기 위한 길인 것이다. 이러한 일을 함께 담당할 우리 아이들에게 전해줄 우리의 오래된 미래! 우리가 어른들에게 이어받은 우리의 오래된 미래! 나만을 고집하는 것에서 우리의 가치로 아우르는, 아시아와 유럽을 이어줄 시대정신!
넓은 새 땅 새 벌, 시베리아에 우연처럼 펼쳐진 작은 민족들과 지구의 등뼈 같은 중앙아시아의 사람들이 두 팔을 들어 올리는 그날이 바로 우리가 함께 기다리는 오래된 미래인 것이다. 여기 동방의 해가 돋는 우리나라에서 우리와 우리 아이들이 길의 한 자락을 잇고, 저기 멀리 서방에선 이런저런 사연으로 헤어졌던 또 다른 우리의 아이들이 이 길을 이어오는 소리가 차츰 커지고 있다. 이제 지구 상에 다시 열리길 기다리고 있는 큰길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오래된 비단길뿐이다.
함철훈(咸喆勳) 사진가·몽골국제대학교 교수
1995년 민사협 초청 ‘손1’ 전시를 시작으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