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저려 자주 앉고 싶으면 ‘척추관 협착증’ 의심
글·사진 이학영 객원기자 mrm97@naver.com
협착증과 디스크의 차이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나타나는 질환으로 50대 후반에서 60대 이상의 노년기에 주로 발병한다. 증상에서의 차이는 디스크일 경우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에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협착증의 경우는 주로 걷거나 서 있을 때 통증이 악화되며 앉거나 허리를 숙이면 증상이 완화된다. 협착증 환자들은 허리의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보행 장애를 호소한다. 초기에는 걷기가 싫어지고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다리가 퍽퍽하다고 느껴지다가, 더 악화되면 걸을 때 앉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증상이 악화될수록 그 간격이 짧아지며 점점 다리 근육도 말라가 다리 마비 증상마저 경험하게 된다.
“디스크는 젤리와 비슷한 비교적 말랑말랑한 디스크 수핵이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이 생기지만, 협착증은 주로 비후된 인대나 관절 또는 자라난 뼈와 같은 보다 딱딱한 조직이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해요. 통증의 유발과 소실점이 다른데, 디스크는 대개 평소에도 아픔이 지속되다가 서거나 걸으면 통증이 감소하는 반면, 협착증은 오히려 걷거나 서 있을 때만 통증이 발생합니다.”
걷기가 싫어지는 초기 증상에서 더 진행되면 보행 장애를 동반하여 다리가 가늘어지고 심폐기능마저 떨어진다. 이때 ‘내가 늙어서 그런가보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 노화과정이 아니라 협착증이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협착증 의심이 가는데도 계속 참는데서 생긴다. “협착증 초기에 진단을 받은 경우는 간단한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초기 치료시기를 놓쳐 점점 병세가 진행되면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악화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협착증의 증상이 노화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그저 견디는 경우가 많거든요. 이것이 큰 문제로 이어지는 거죠.” 노화의 과정이니 어쩔 수 없겠거니, 그저 쉬면 나아질 것이라는 자가 진단을 내리며 병을 키우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디스크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호발하기 때문에 회복 능력도 비교적 좋지만, 협착증은 꽤 연로한 사람들에게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오랜 기간 보행 장애를 겪다 보면 근위축 및 심폐기능의 저하까지 동반되어 회복 능력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빈번하다.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이나 몇몇 매체의 의학정보 또는 주변에서 듣는 이야기로 자가 진단하고 병원은 수술만 권하는 곳이라며 불신하는 태도가 많아요. 사실 수술을 받아야 하는 환자는 5% 정도에 지나지 않는데 말이죠.”
의료 환경 변화, 수술 환경도 바뀌어
일반인들의 수술에 대한 거부감은 당연할 수 있지만, 협착증의 경우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어려운 수술은 아니다. “최근에는 의료 환경과 수술 환경이 급격히 발전했어요.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고요. 의사들이 부작용이나 합병증에 대해 경고를 하지만 실제 그렇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줄어든 거죠.”
민 원장의 아버지도 올해 80세인데 지난해 초에 협착증 수술을 받았다(자식이 부모를 집도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매우 간단한 수술이라 본인이 직접 했다고 한다). “아버님께서 자전거를 워낙 좋아하셔서 20년 이상 자전거를 타셨어요. 그런데 점점 연로하시다 보니 자전거를 못 타시게 되고 결국 보행이 늘어나다 보니 협착증 증세를 심하게 느끼시더라고요. 몇 차례 주사 및 시술해도 안 되어 지난해 2월에 직접 수술을 해드렸는데, 현재는 상태가 많이 호전되어서 여행도 다니시고 그래요.”
빠른 진단이 협착증 치료의 포인트
협착증은 빠른 진단과 꾸준한 치료만으로 개선이 충분히 가능하다. 병원을 방문할 때는 협착증의 핵심인 보행과 관련된 증상을 자세히 말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얼마나 멀리 걸을 수 있는지, 보행을 하면서 나타나는 통증의 양상은 어떤지 자세히 점검하고 말하는 것이 좋다. 이후 필요에 따라 방사선 검사(x-ray),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을 수 있다.
대개 협착증 치료는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보존적 치료’와 각종 주사를 이용한 신경 치료 그리고 각종 ‘시술’(예: 경피적 신경 성형술 및 경피적 풍선 확장술)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단순 감압술에서 기기 고정술까지 매우 다양하다. 최근에는 디스크 치료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던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기법이 활발하게 연구, 시도되고 있다.
“노년에 걷기가 싫어지고 앉을 자리만 찾게 되면 정확한 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아야 해요. 그리고 협착증 진단이 나왔다면 초기부터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 증상에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거의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이죠. 활기차게 걷는다는 것은 노년의 건강과 행복에 아주 중요합니다. 그리고 걷지 못하는 생활이 다른 신체에 미치는 악영향은 매우 큽니다.”
노년에 걷는 게 싫어지고 앉을 자리만 찾는다면 정확한 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아야 해요. 협착증 진단이 나왔다면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