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처럼 오묘한 것도 없다. 공간은 정직하게 자기 모습을 드러내지만, 시간은 도대체 종잡을 수가 없다. 시간은 강물을 닮아서 때로는 폭포처럼 정신없이 바쁘다가도 어떤 때는 평탄한 지형을 흐르는 잔잔한 강물처럼 지루하기도 하다. 때로는 가뭄에 드러난 강바닥처럼 별일 없이 왜소하게 흐르다가도 어느 때는 장마로 부풀어 올라 모든 것을 휩쓸어 가듯이 도도하게 흐르기도 한다.
한때 과학 시간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에 등장하는 시간의 개념을 배우면서 무척 신기하고 혼란스러웠던 적이 있다. 모든 시간의 흐름은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시간에 대한 우리의 느낌이 다를 수 있으니 어느 정도 이해가 되기도 했지만, 느낌만이 아니라 실제로 과학적으로도 다르다는 것이다. 빛의 속도로 달리면 시간이 멈춘다는 데에서는 머리 회전도 멈추었다.
시간을 인식하기 시작하면 늙었다는 증거라고 하지만 사실 젊은 날에 이런 시간의 비밀을 읽어내기에는 지나치게 우리 몸이 뜨겁고 혈기 왕성했다. 시간과 한 몸이 되어 뒹굴 때는 시간의 존재를 알아채지 못한다. 잔잔히 흐르는 강물처럼 시간을 관조할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만 비로소 시간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물론 이미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는 점이 문제이지만.
병신년이 서녘 하늘가로 꼬리를 감추고 사라지면서 정유년이 밝았다. 그렇지만 광장 촛불로 촉발된 시간의 과잉은 새해의 담장을 무시하고 정유년의 정결한 아침 마당으로 넘쳐흐른다. 인간이 설치한 인위적 시간의 칸막이가 속절없이 무너지는 광경을 보는 것이 그리 즐거운 일은 아니다. 인류가 그토록 애써서 쟁취한 시간의 분절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넘쳐나는 시간의 흙탕물 속에서도 순결한 새해 소망을 이야기해야만 한다. 시간이 비록 우리를 속일지라도 우리는 슬퍼하지 말고 새해에는 살을 빼야 한다. 그것이 비록 작심삼일(作心三日)일지라도 우리는 새해 아침 자신과 약속해야만 한다. 새해도 주머니가 두둑해질 일은 없겠지만, 그래도 주머니 만드는 일을 게을리하면 안 된다. 그것이 시간에 대한 예의이다.
눈 덮인 새하얀 들판을 보듯 새해 아침은 그렇게 정결했으면 좋겠다. 아무도 밟지 않은 눈 위로 첫발자국을 찍고 싶다. 새해는 그렇게 시작하고 싶다. 늘 단골로 다니는 을지로 냉면집을 찾아가다 보면 을지로 3가 못 미쳐 시비가 하나 서 있다. 새해가 되면 떠오르는 김종길 시인의 <새해 아침에>라는 시다. 올해는 유독 그 시비 앞에 서 있는 시간이 길었다.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 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중략)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 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새해는 젊고 어린 세대들의 마음에 고운 이빨이 돋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