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이투데이피엔씨, 사회적 약자 위한 디지털 접근성 확대 노력

기사입력 2025-04-18 00:00

이투데이피엔씨·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공동 MOU

▲● 이날 진행된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 모습. 왼쪽부터 신동민 이투데이피엔씨 대표,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성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이사장. (이준호 기자)
▲● 이날 진행된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 모습. 왼쪽부터 신동민 이투데이피엔씨 대표,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성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이사장. (이준호 기자)

이투데이피엔씨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과 함께 장애인과 고령자를 위한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접근성 향상과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세 기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법령 이행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디지털접근성 인증사업 공동 수행 △관련 법령 이행 및 사회적 책임 강화 △장애인과 고령자 대상 콘텐츠 공동 개발 △접근성 관련 연구 및 정책 제안 활동 등을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은 산업 전반의 키오스크, 모바일 앱, 가전제품 등에 대해 장애인과 고령자의 접근성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이투데이피엔씨 주도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이 함께 디지털 포용사회를 위한 공동 비전을 실현한다. 이는 장애인차별금지법, 지능정보화 기본법 등 강화된 법적 요구에 발맞춰 기업들의 대응을 지원하고, 디지털 포용사회 조성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 체결식은 서울 강남구 소재 이투데이빌딩 19층 라운지에서 진행됐으며, 신동민 이투데이피엔씨 대표,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성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이사장을 비롯해 이종재 이투데이그룹 미디어부문 부회장, 김동호 한국장애인총연명 정책위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신동민 대표는 “고령화가 심화되는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 격차는 또 다른 불평등의 시작”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장애인과 시니어 모두가 동등하게 디지털 세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김동범 사무총장은 “오늘 협약은 언론사와 장애계, 연구기관이 손을 잡은 뜻깊은 사례로, 제도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일 이사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접근성 연구 결과가 현장에서 작동하고, 나아가 대중적 인식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의지를 나타냈다.

협약 체결식 후 이어진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돌봄정책 △고령자 주거 문제 △사회적 주택 확대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강화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특히 내년 시행 예정인 ‘사회적 돌봄법’을 계기로 기업‧단체‧정부 간 유기적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또 장애인과 고령자를 모두 포용하는 서비스 모델 및 통합 플랫폼 구축 필요성도 제기했다.

▲●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 인사들. 왼쪽부터 신동민 이투데이피엔씨 대표, 김동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정책위원장,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종재 이투데이그룹 미디어부문 부회장, 이성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이사장, 소정혜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국장, 권재현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차장, 박정권 이투데이 전략사업부 부국장. (이준호 기자)
▲●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 인사들. 왼쪽부터 신동민 이투데이피엔씨 대표, 김동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정책위원장,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종재 이투데이그룹 미디어부문 부회장, 이성일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이사장, 소정혜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국장, 권재현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차장, 박정권 이투데이 전략사업부 부국장. (이준호 기자)

이투데이피엔씨는 경제신문 이투데이를 포함한 미디어그룹 차원에서 사회공헌 활동과 콘텐츠 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신중년‧꽃중년 전문 매체인 ‘브라보 마이 라이프’를 통해 중장년층의 삶과 요구를 적극 반영해오고 있다.

이종재 부회장은 “2040년대에는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될 것”이라며 “이에 대응하는 사회 서비스 체계 구축은 우리 사회와 기업이 함께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이투데이피엔씨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외 유관기관과 협력을 확대해 디지털 격차 해소와 제도 개선, 서비스 혁신에 기여하는 언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뉴노멀 시니어의 AI 패러다임 “의존이 아닌 활용과 창조”
  • 화장품·뷰티 디바이스… 중년 홈케어족 위한 안내서
  • “남자는 머리빨” 젊어지는 중년 헤어스타일링 백서
  • 젊음 추구하는 중년 ‘그루밍족’, 늘어나는 이유는?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