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길어진다면 의료기관 방문해야
장미영 65세
목이 칼칼하고 가끔 숨이 찼어요.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확실히 느껴졌고 피로감도 심했습니다. 목은 양성 판정 후 2주일 정도 지나니 괜찮아졌어요. 주변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더군요. 한 달 동안 목소리가 안 나왔다는 사람도 있었거든요.
이용열 57세
약간의 미열과 나른함이 있었어요. 목이 부은 듯이 불편하기도 했고요. 두통은 아닌데 멍한 느낌이 가시지 않았습니다. 몸 전체에 에너지가 잘 돌지 않아 기력이 없었어요. 무리하지 않고 일주일 정도 잘 먹고 쉬고 나니 다행히 점차 나아졌습니다.
송은경 59세
약간의 잔기침이 있었어요. 몸살 기운도 오래갔고요. 열은 안 나는데 뭔가 몸이 쉽게 피곤하고 지치는 기분이랄까요? 목이 쉽게 건조해져서 가습기를 계속 틀고 있어야 했죠. 지금도 밤에 잘 땐 가습기를 꼭 틀고 자요. 조금만 무리해도 몸살이 난 것처럼 기운이 쭉 빠지고요. 목소리가 제대로 돌아오는 데만 한 달이 걸렸어요. 어머니도 확진 판정을 받으셨는데, 잔기침이 오래가네요.
함영미 56세
확진 판정 후 2주 정도는 가래가 많이 생겼어요. 그런 탓에 목소리도 안 좋았고요. 두통도 계속 있었는데, 한 달 정도 갔던 것 같네요.
열 명 중 둘은 겪는 후유증, 관리가 우선
코로나19 확진자 중 상당수가 완치 판정 후에도 기억력 감퇴,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인다. WHO는 후유증을 겪은 완치자 비율을 10~20%로 본다.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립중앙의료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 등 국내 의료기관과 협력해 실시한 후유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로감, 호흡곤란, 건망증,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의 증상이 가장 흔했다. 김윤나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교수는 “병원을 방문한 확진자 대다수가 머리가 멍하고, 온몸에 힘이 없으며, 이유 없이 울적하고 초조하다는 증상을 호소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에게만 후유증이 남은 것은 아니다. 책 ‘팬데믹 브레인’의 저자 정수근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팬데믹으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 사람의 뇌는 지하 벙커에 오래 갇혀 있다 풀려난 사람의 뇌와 닮았다”고 적었다. 독일 남극기지에 파견돼 14개월간 고립된 채 지냈던 탐험가들의 뇌를 조사해보니 기억력을 관장하는 해마의 크기가 약 7%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5월 기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공식 입장이다. 단,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코로나19 감염 후 새로 나타나거나 지속되는 증상에 대해서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에 대응해 일시적으로 처치하는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하고 있다.
코로나19 격리해제 후 불안,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으로 정신건강 악화가 우려된다면 국가심리지원센터를 방문할 수 있다. 서울시 전 자치구에서 확대 운영될 예정인 ‘코로나19 후유증 상담센터’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서울시는 “완치 후 최소 2개월 이상 후유증이 지속되는 시민을 대상으로, 증상 관리와 더불어 심리상담 의료기관을 연계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