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의 진실] PART3. 바이러스와의 공생
우리가 사는 세상은 바이러스로 가득하다. 어쩔 수 없이 공생해야 할 운명(?)이라면 바이러스를 잘 활용하고 다스리는 것이 현명한 방법 아닐까?
도움말 김수정 코오롱생명과학 연구소장, 하석훈 전 ㈜GC녹십자 종합연구소장
CHAPTER 1. 바이러스로 살아남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의 여파로 현대인들은 ‘바이러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알고 보면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착한 바이러스’도 적지 않다.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물질을 숙주세포에 전달하는 게 특징인데, 이에 착안해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김수정 코오롱생명과학 연구소장은 “바이러스를 전달체로 사용한 유전자치료제는 임상시험 단계에 들어간 것만 해도 수백 개에 이르고, 10여 개는 이미 허가를 받아 판매 중”이라며 “미국은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적극 지원할 것을 선언했고, 다른 나라에서도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전자치료용 바이러스, 그 효과는?
유전자치료가 성공하려면 인체에 치료유전자가 효율적으로 전달돼야 한다. 다양한 전달 방법 중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고 널리 사용되는 도구는 바로 ‘바이러스’다. 이는 바이러스가 자기 유전자를 세포 내로 잘 전달하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이다.
김 소장은 “유전자치료제는 일반 치료제와 경쟁하는 의약품이 아니다”라며 “기존에 치료제가 없는 질병(선천성 면역결핍증, 선천성 시각장애 등)이나 치료제가 있더라도 그 효과가 떨어져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한 질병(암, 중증 통증 등)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우리 몸에 투여해도 안전한 바이러스는 어떻게 만들까? 바이러스에 따라 2개부터 많게는 수백 개에 이르는 유전자가 있는데, 먼저 이들 중 바이러스 게놈 복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제거한다. 복제 유전자가 없는 바이러스는 사람 몸에 들어가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지 못하고 치료유전자 전달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HAPTER 2. 바이러스에서 살아남기
빌 게이츠와 멜린다 게이츠 부부는 2000년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의 목표는 질병과 빈곤을 없애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백신 개발에 많은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백신은 매년 수백만 명의 생명을 살리고 비용 면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염병의 유행을 막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률을 9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백신에 대한 맹신, 문제는 없을까?
질병을 막기 위한 최선책으로 여겨지는 백신. 그러나 백신에 대한 맹신이 불러오는 문제는 없을까? 하석훈 전 ㈜GC녹십자 종합연구소장은 “백신의 효능은 종류마다 다르다. 유도된 면역력은 백신 접종 후 평생 유지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재접종해야 할 경우도 있다”며 “한 번 접종한 백신이 해당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평생 갖는 것은 아니다”라고 조언했다. 혹시 여러 종류의 백신을 동시에 맞거나 단기간에 투여하면 위험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면, 염려할 것 없다. 백신의 상품화 과정과 시판 후 조사 과정을 통해 여러 백신을 동시에 투여해도 면역체계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한 번에 백신을 투여함으로써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한편 면역력을 키우겠다며 다소 비위생적인 환경에 어느 정도는 노출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는데, 이는 득보다 실이 큰 행위다. 하 전 소장은 “자연감염으로 인해 다양한 면역력이 유도될 수 있지만, 일부 감염체는 쉽게 자연치유되지 않고 후유증을 남기거나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남기기도 한다”며 “감염을 막기 위해 위생에 신경 쓰면서 적절한 백신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좋은 대처”라고 당부했다.
위생이 좋지 않았던 1970~80년대에 유년기를 지낸 중장년은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부분 감염돼 항체를 가진 경우가 많다. A형 간염 바이러스의 경우 유·소아기에 감염되면 감기처럼 앓고 지나가지만 성인이 된 후 감염되면 급성 A형 간염을 앓거나 심하면 합병증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요즘은 위생관리 수준이 높아져 A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병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항체를 지닌 사람이 10%도 안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행히 A형 간염 백신이 잘 개발돼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해 접종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