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조선왕릉 5백년 답사

기사입력 2018-11-26 11:21

이성계의 4대 조상 목조, 익조, 도조, 환조 ④

‘덕을 베풀고 의로써 행했다’ 하여 이성계가 목조(穆祖)로 추존한 4대조 이안사(李安社). 이안사는 전주에서 삼척으로 옮기면서 부모의 묘도 이장해 모셨다. 부친 양무장군의 묘가 준경묘(濬慶墓), 모친의 묘가 영경묘(永慶墓)이다. 이곳은 5대손 안에 군왕이 나온다는 왕조 창건 전설이 시작된 곳이다. 한 도승이 개토제(開土祭)때 소 백(百牛)마리를 잡아 올리라고 일러준 것으나 흰소(白牛)로 대신해 천년 사직이 반으로 줄어 오백년이 됐다거나, 준경묘 사방 다섯 봉우리의 수명이 각각 1백 년이라 도합 조선왕조 수명이 오백년이 되었다는 말이 전해온다. 어렵사리 전주에서 삼척으로 옮겨갔지만 악연의 뿌리는 모질고 질겼다. 전주에서 충돌했던 산성별감이 강원도 안렴사로 부임해 온다하여 짐을 꾸려 더 북쪽으로 올라갔다. 그곳은 동북면의 원산(元山) 북쪽 덕원(德源)으로 1236년(고려 고종 23))의 일이다. 몽고군의 침략이 수차례 이어지던 때로 고려는 목조대왕을 의주병마사(宜州兵馬使)로 삼아서 원나라가 점령하고 있는 쌍성(雙城: 永興 · 和州) 바로 남쪽인 고원(高原)을 지키게 하였다. 그 당시 함경도는 원나라의 속령이었다. 원나라가 이안사에게 여러 차례 항복을 요구하니 세(勢) 부족의 현실을 감안하여 수하의 족벌을 거느리고 항복하였다. 이후 경흥(慶興) 바로 아래 원나라 점령하의 여진(女眞) 땅인 오동(斡東)까지 북상하여 구역 내 수천호(首千戶)를 다스리는 원나라 관직 다루카치(達魯花赤)를 겸하게 된다. 이성계의 고조부인 이안사는 1274년(고려 원종 15) 3월 10일에 별세하였다. 경흥(慶興) 남쪽에 장사 지냈다가 그 후 1410년(태종 10) 경인년에 함흥 서북쪽으로 이장했다. 이른바 덕릉(德陵)이다.

▲이성계 4대조 이안사의 덕릉(德陵)과 부인 이 씨의 안릉(安陵), 쌍릉이다. 이성계 즉위 후 목왕(穆王)과 효비(孝妃)로 하였다가 태종 때에 목조(穆祖)와 효공 왕후로 다시 추존하였다. 현재 북한에 있어 사진을 구할 수 없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사진이다.
▲이성계 4대조 이안사의 덕릉(德陵)과 부인 이 씨의 안릉(安陵), 쌍릉이다. 이성계 즉위 후 목왕(穆王)과 효비(孝妃)로 하였다가 태종 때에 목조(穆祖)와 효공 왕후로 다시 추존하였다. 현재 북한에 있어 사진을 구할 수 없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사진이다.

목조대왕 이안사의 후계는 4남 행리(行里)로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천호(千戶) 벼슬을 이어받았다.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에 함께 나아갔다가 충렬왕을 만났을 때 선친 때의 이주가 배반이 아니라 위험을 벗어나기 위함이었음을 아뢰고 의심을 벗었다고 한다. 이후 원나라의 이민족 배척과 여진족의 적대행위가 계속되는바 그들의 영향력을 벗어나기 위하여 오동(斡東)에서 덕원(德源)으로 돌아와 쌍성 지역을 계속 관할하고 지내다 승하했다. 태조 이성계은 익왕(翼王)이라 칭했고 태종 때에 익조(翼祖)로 추존하니 능은 지릉(智陵)이다. 부인 정숙왕후 최 씨의 능은 숙릉(淑陵)으로 남편과 떨어져 모셨다. 최 씨의 상여가 출발하여 지릉으로 향하는 도중에 한 고개에 이르자 상여가 갑자기 저절로 부서져 더 갈 수가 없어 근처에 장례를 모신 탓이라고 한다. 아쉽게도 지릉과 숙릉의 사진이나 자료가 없다. 익조 이행리의 후계 역시 4남 춘(春)으로 부친의 벼슬을 이어받았다. 관할지역에 대농장을 유지하며 풍부한 재력으로 사병 2천 명을 관리할 수 있었다. 개경으로 올라가 충숙왕으로부터 하사품도 받아오는 등 왕실과의 관계도 유지하며 지내다가 돌아가니 각각 의릉(義陵)과 순릉(純陵)에 모셨다.

▲이춘, 즉 도조를 모신 흥남의 의릉(義陵). 곡장을 둘렀으며 묘 하단이 아닌 바로 앞에 정자각을 세웠고 왼쪽으로 관리사로 보이는 건물이 있다. (조선고적도보 사진) 부인 경순왕후 박 씨의 순릉(純陵)은 별도로 모셨다.
▲이춘, 즉 도조를 모신 흥남의 의릉(義陵). 곡장을 둘렀으며 묘 하단이 아닌 바로 앞에 정자각을 세웠고 왼쪽으로 관리사로 보이는 건물이 있다. (조선고적도보 사진) 부인 경순왕후 박 씨의 순릉(純陵)은 별도로 모셨다.

이렇게 고조부 이안사로부터 증조부 이행리를 거쳐 조부 이춘까지 벼슬을 세습하며 영흥, 함흥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조부 이춘의 후계는 장자 자흥에게 이어졌으나 두 달만에 되돌아 갔다. 그 아들 교주(咬住)는 나이가 어려 계모의 흉계를 물리치고 이성계의 아버지 자춘(子春)이 임시로 이어받았다. 조카 교주가 성장함에 따라 관직을 돌려주려 했으나 받지 않았다. 고려 공민왕 때로 반원(反元) 정책에 따라 원나라가 차지하고 있던 쌍성총관부를 되찾기로 했다. 공민왕과 이자춘이 협약해 1356년, 99년 만에 옛 땅을 회복했다. 큰 공을 세운 이자춘은 대중대부(大中大夫) 사복경(司僕卿) 벼슬을 하사 받는 등 고려국 중앙에 등장했다. 개경으로 올라온 이자춘은 아들 이성계와 함께 크고 작은 전투에 참여했다. 승승장구함과 아울러 벼슬이 높아지게 되는데 천호(千戶) 관직에서 만호(萬戶) 관직으로 높아져 함경도로 떠난 그해 승하하여 함흥에 장사 지내니 환조대왕의 정릉(定陵)이다.

▲이성계의 부친 자춘, 즉 환조를 모신 정릉(定陵), 부인 의혜왕후 최 씨의 화릉(和陵)이 뒤편에 자리 잡은 상하릉 형태의 쌍릉이다. (조선고적도보 사진)
▲이성계의 부친 자춘, 즉 환조를 모신 정릉(定陵), 부인 의혜왕후 최 씨의 화릉(和陵)이 뒤편에 자리 잡은 상하릉 형태의 쌍릉이다. (조선고적도보 사진)

이렇게 이성계의 4대 선조 왕릉은 모두 북한의 함경남도 를 모셔져 있다. 2기는 쌍릉으로 함께, 2기는 각각 모시다 보니 여섯 지역에 나뉘어져 있는데 현재 어떤 상태인지는 알 수 없다. 세계유산에도 포함되지 않은 채 말이다.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답사꾼들이 찾아가볼 날을 기대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