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함철훈의 사진이야기] 훌쩍! 놀란 새가 푸드덕 솟아오른다

기사입력 2017-10-13 14:25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이사 가는 것과 삶의 터전을 아예 다른 나라로 옮기는 것은 무엇이 다를까? 트렁크에 짐을 꾸려 잠시 출장을 간다든가, 가족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경우는 돌아올 집과 살림살이를 놔두고 그야말로 다녀온다는 의미이지만, 아내와 함께 전혀 생소한 이국땅으로의 이주는 확실히 다르다. 집도 가구도, 집안 구석구석을 채우고 있던 물건과 날마다 타고 다니던 자동차마저 정리한다는 뜻이다. 주위 사람들과 작별인사도 나누어야 한다. 무엇보다 날마다 밟고 다니던 땅과 아무렇지도 않게 바라보던 하늘과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공기와 작별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살 깊게 몸을 의탁했던 집도 정리하고, 지인들에게 나누어줄 가구와 컨테이너에 실어 보낼 살림살이를 구분했다. 그렇게 우리 부부는 몽골국제대학교에서 일하며 살기 위해 그나마 익숙해진 고국을 떠났다.

그렇게 고국을 떠나 몽골에서 몇 년을 지내며 나의 자세도 바뀌었다. 잠시 이국적인 환경을 겪다가 내 나라와 내 집으로 돌아가는 여행이 아니다. 그래서일까, 우리의 몸과 마음이 반응하기 시작했다. 내가 있는 자리에서 돌아가는 세상을 이방인으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로 바뀌려는 움직임이 느껴진 것이다. 그런데 바뀌는 것도 시간이 필요하고, 생각과 몸도 적응해야 할 매체와 환경이 필요하다. 그것이 우리 부부에겐 하늘이고 빛인가보다.

요즘 잠에서 깨어나 무슨 생각이 들기 전, 창을 통해 보이는 하늘빛으로 날마다 행복하다. 사람이 태어나 세상과 만나는 첫 충격이 빛이라 했던가? 그렇게 만난 빛으로 날마다 하루를 시작하는 게 나의 일상이다. 하루의 모든 계획에 앞서 내 눈에 들어와 펼쳐지는 하늘에 감동하는 것은 나만이 아니었다. 아내도 그 하늘을 보고 있었다. 몽골에서 우리 부부는 그렇게 하루를 시작했다. 침대에서 보이는 하늘 때문이다.

내친김에 더 추워지기 전 풍성한 몽골의 숲에 들어가자고 했다. 거기서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빛과 공기에 흠뻑 젖고 싶었다. 개울 옆에 자리를 깔고 텐트도 쳤다. 그래봐야 집에서 15분 거리도 안 되는 마을 뒷산이다. 청명한 공기 속에 새소리와 개울 물소리가 구별 없이 어울리며 섞인다.

아내는 따뜻한 물과 좋아하는 작가 폴 오스터와 김연수의 책을 안고 왔다. 푹신하고 부드럽게 바닥에 깔아놓은 작은 텐트 안에서 그 책들을 아끼며 보고 또 보고 있다. 충분히 행복한 얼굴이다. 이럴 땐 방해하지 않는 게 상책이다. 난 아내와 떨어져 낮은 구릉에 오른다. 아직 울창한 숲과 풀들 사이로 에델바이스가 지천이다. 돌바기 손녀 ‘셀라’를 얘기하기 좋은 꽃이다. 그 꽃에는 셀라의 웃음소리, 새근거리는 숨소리, 그럴 때마다 맡아지는 젖내와 말랑한 살이 연상되는 솜털이 소복하다. 그런데 작년에 비해 키가 작다. 에델바이스뿐 아니라 풀들이 모두 여위었다. 평년에 비해 비가 많이 왔는데도 초원이 풍성하지 않다. 몽골 초원의 풍성함은 전체 강수량보다 비가 온 시기에 좌우된다. 엄밀히 나담(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매년 7월에 열리는 몽골 최대의 민속 축제이자 스포츠 축제)을 기준으로 나뉜다. 즉 7월 전에 오는 비라야 몽골을 풍성하게 하고 그 후 8월과 9월의 비는 오히려 수확에 방해가 된다. 나담 후에는 촉촉한 초원에 해가 쨍쨍하게 비춰줘야 모든 곡물이 익기 때문이다. 그 시기가 어그러져 강수량이 많았음에도 올해 밀 값이 벌써 올랐다.

흐르는 개울물을 먹으려고 쌍봉낙타와 말이 우리 주위를 어슬렁거리는 모습은 마치 손녀의 사랑을 받으려는 우리 부부의 모습과 같다. 낙타와 말도 한껏 숲에 안긴다.

훌쩍! 놀란 새가 푸드덕 솟아오른다. 곧 닥칠 겨울을 준비하던 새는 혼자 놀라 부산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몇 번 더 와야겠다.

함철훈(咸喆勳)>>

사진가· 몽골국제대학교 교수

-

1995년 민사협 초청 ‘손1’ 전시를 시작으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 2012년 이탈리아 밀란시와 총영사관 주최로 전을 FORMA에서 개최. 2006년 인터액션대회(NGO의 유엔총회)서 대상 수상. 저서로 <보이지 않는 손>, <사진으로 만나는 인문학>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