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자연의 순수, 그 처음의 정갈함으로 담담하게

기사입력 2017-07-31 11:00

[자연에서 산다는 것 PART1] 자연에서 살기

아직도 이 나이에 ‘부러운 것이 있다’면 모두들 웃겠지만 저는 저리게 부러운 것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내가 갖고 싶었는데 갖지 못한 것을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지금도 부럽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딱히 물건이면 어떻게 해서든 나도 그것을 마련하여 아쉬움을 채우고는 부러움을 지울 수 있겠는데, 제가 지닌 부러움은 그렇게 할 수 없는 부러움입니다. 다른 것이 아닙니다. 어떤 분이 사는 모습을 보면 나도 저렇게 살아야 하는데, 또는 살았어야 하는데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그런 삶이 있습니다. 그럴 때면 남모르게 소심해지고 휑하니 허전해지면서 그런 삶이, 그리고 그분이, 무척 부러워집니다.

언제부터인지 가늠이 되진 않지만 나이 들어 은퇴를 하고 고향으로 되돌아가는 친구들을 볼 때 그런 부러움이 일었습니다. 어찌 보면 은퇴 후의 귀향은 귀소본능이 충동하고 충족시켜주는 향수(鄕愁)의 현실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낳고 자란 고향을 떠날 때는 넓은 세상에서 높은 뜻을 이루겠다는 청운의 꿈을 꾸었지만 삶을 살 만큼 살고 나면 꿈의 이룸 여부와는 상관없이 이전의 떠남이 상실로 내려앉으면서 그 잃음의 아쉬움이 거의 강박적으로 귀향을 다그칩니다. 비단 그런 아쉬움이 아니더라도 이제는 더 떠돌고 싶지 않은 고요한 정착과 더 피곤하지 않을 안식에의 그리움이 그 귀향을 덧칠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마침내 귀향을 감행하고, 거기서 새 삶을 펼칩니다. 그리고 그러한 삶은 대체로 번거롭고 메마른 ‘도시’를 벗어나 전원적인 정일한 ‘시골’로 들어서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그러니 이러한 삶이 부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 삶을 엄두도 못 내는 제 삶의 조건들이 한스럽기조차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귀향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른바 고향이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공간’으로 축소되면서 그 지리적 개념은 ‘새로 나이 먹어가는 사람들’의 마음자리에서는 이전의 무게를 지니지 못합니다. 농경사회와 산업사회의 간극이라고 해도 좋을 이질성이 뚜렷이 그려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시공이 어우러져 삶을 회귀하게 하던 ‘고향’은 이제 없다고 해야 할 만큼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전의 귀향과 그 틀이나 드러난 모습이 거의 비슷한 삶이 새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인위에서 자연으로의 ‘되돌아감의 정서’라고 할 독특한 감성이 사람들의 삶을 새롭게 충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귀농은 ‘다른 생업의 선택’이므로 이 범주에 넣기가 꺼려집니다만 귀촌은 다릅니다. 그것은 삶의 양태 자체의 변화를 꿈꾸면서 실행하는 일입니다. 더 나아가 ‘자연 속에서 산다’에 이르면 이는 이제까지의 삶을 폐기하겠다는 선언과 더불어 이루어지는 ‘다른 삶’을 산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데 ‘자연인으로 산다’는 데 이르면 이건 아예 다시 태어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것이어서 그 결연한 마음을 밖에서는 감히 짐작할 수조차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삶이 한창 번지고 있습니다. 그런 삶을 온갖 매체들이 기립니다. 그러한 삶이 우리가 회복해야 할 삶이고, 그래서 당연히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삶이라고 주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주장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듯합니다. “우리는 너무 많은, 너무 나아간, 너무 단단하고, 너무 복잡한 인위(人爲)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가 게걸스러움에 사로잡혀 사람답지 못하게 사는 것, 의미와 보람과는 상관이 없는 허무한 삶을 살면서 서로 미워하고 속이고 죽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은 인위의 지극한 성취라고 할 ‘도시적 삶’에서 비롯한 것이다. 그러니 이제는 자연의 순수, 그 처음의 정갈함, 그것이 스스로 짓는 질서를 좇아 담담하게 살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 여기의 ‘도시’를 떠나 ‘시골’로 돌아가 자연인으로 살아야 한다. 그럴 수 있는 판단과 용기, 그렇게 살 수 있는 지혜, 그것이 현대인의 도덕이다.”

저는 이러한 주장에 이견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삶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저도 그렇게 살고 싶습니다. 그런데 그런 삶을 살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지금 여기의 삶을 버리면 생존이 위태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오직 부러울 뿐입니다. 게다가 지금 그렇게 살겠다고 나서는 사람들은 반드시 향수를 일컬으며 귀향을 서두는 그런 세대의 사람들만이 아닙니다. 오히려 ‘도시적인 삶’에서 일컬어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는 그러한 사람들이 선택한 ‘성공 이후의 삶’의 모습으로 그려지기조차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시골 삶’이나 ‘산속의 삶’은 묘하게 저를 아프게 하면서 제 부러움을 더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체념을 수반하는 부러움을 조장한다고 말하면 될는지요. 물론 이와 정반대의 경우도 보입니다. 그러나 그 경우도 제 부러움을 지우지는 못합니다. 어쩌면 ‘도시’에서의 실패가 낳은 좌절의 출구로 선택된 ‘시골 산속의 삶’이었는데 뜻밖에 ‘성공’한 사례들은 내 망설임을 비웃기라도 하듯 저를 괴로운 부러움에 빠져들게 하니까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자연에 산다’는 표어가 하필 지금 여기 우리의 주제만은 아닙니다. 누구나 다 아는 일입니다만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미 1854년에 그의 저서 <월든>을 통해 자연에로의 회귀를 당위적인 것으로 선언하고 있습니다. 아니, 더 거슬러 올라간다면 도연명의 <귀거래사>는 소로보다 2000년 전에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읊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의 글을 읽다 보면, 제 모자람 탓이겠습니다만, 지금 여기 우리의 ‘자연에의 회귀’가 지닌 정서가 조금 불안해질 때가 있습니다. 소박한 무소유의 삶을 지향하지 않는다면 자연에서 산다는 것이 정말 자연스러운 것일 수 있을까 하는 무엄한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만약 자연에서 산다는 것이 ‘물질의 새로운 소유 양식’일 수도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인위의 일상성에서는 짐작도 못할 위선의 극치는 아닐까 하는 무지한 항변을 해보고 싶기도 합니다.

이제는 인위를 버리고 자연을 택해야 하는 새로운 도덕을 주창할 때가 되지 않았느냐는 선언은 감동스럽습니다. 잃은 것, 잊은 것을 되생각하게 하면서 처음의 순수와 정갈한 고요 속에서 나를 되돌아보게 하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나이를 먹어 향수에 실려 귀향을 서두는 것은 그러한 정서의 표출입니다. 그래서 할 수 있으면 그렇게 삶을 다듬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쩐지 ‘자연에서 산다’는 선언이 풍구질로 불꽃 일구듯 유행한다면 그것은 참 자연스럽지 않을 것 같아 두렵습니다.

새마을 사업으로 초가지붕이 슬레이트로 바꾸는 작업이 한창일 때, 저는 이엉을 얹는 작업을 한동안 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에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때 어떤 시인이 그 작업을 탄식하면서 초가지붕의 소멸이 문명의 종말을 상징한다고 아파하는 시를 썼던 것을 읽은 일이 기억납니다. 그때 이후로 저는 아직 ‘시적 상상력의 현실성’에 대한 회의를 지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연에서의 삶을 살지 못하는 나를 정당화하는 비겁한 논리이겠습니다만 자연스러움을 좇아 자연을 선택한 삶이 얼마나 부자연스러운 삶일 수 있는지, 비록 인위로 차곡차곡 쌓인 삶인데도 그 삶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삶을 잉태할 수도 있는지를 우리는 곰곰이 살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