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살린 지도사 자격증, 능력·적성 맞아 즐거워”
은퇴 후 전문 지도사나 강사 활동을 희망하는 시니어가 많다. 회사에 취직해 매일 출퇴근하는 것보다 시간 대비 수익이 좋은 편이고, 누군가를 가르치며 얻는 보람과 즐거움도 크기 때문이다. 이렇듯 매력적인 요소가 많지만, 그에 상응하는 전문성과 독창적인 강의 커리큘럼이 뒷받침돼야 한다.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바탕으로 자격증 취득 후 강사로서 제2인생을 맞이하고 있는 정노희(61) 씨를 만나봤다.
대학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했던 정노희 씨. 퇴직 후 남편의 권유로 국가기술 자격인 직업상담사(2급) 자격증을 딴 이후 올해 1월 노인두뇌훈련지도사(1급)까지, 모두 12개의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야말로 자격증 고수인 그녀가 가장 오래 걸려 딴 자격증은 처음 도전했던 직업상담사였다고. 국가기술 자격증인 만큼 학습량도 많고 실습 경력을 쌓아야 하기 때문일 터다. 이후 직업상담사(2급), 진로상담사(2급) 등도 섭렵했지만, 손재주가 좋았던 정 씨는 창작예술 쪽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와 관련한 자격증을 알아보던 중 다양한 종목을 두루 인정받을 수 있는 ‘토탈공예지도사’에 도전하기로 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덕분에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다. 기세를 몰아 창의활동지도사(2급), 아동요리지도사(1급), 생태놀이지도사(2급), 노인여가운동지도사(2급) 등을 2년이 채 되지 않아 모두 땄다.
“제가 하는 강의는 실습 위주의 창의 활동을 통해 교감하는 방식이에요. 이론을 가르치거나 전수하는 분야보다는 그게 전공도 발휘하고 적성에 맞으리라 여겼죠. 자격증 많아 봐야 소용없다고 하지만, 자기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곁가지를 뻗어 나간다면 도움이 된다고 봐요. 실제 커리큘럼을 짤 때도 복합적으로 작용하고요. 누군가의 추천이나 유행에 휩쓸리기보다는 자기 적성과 강점을 찾고, 거기에 알맞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좋겠죠.”
강의를 위한 전문성과 자신감 채워야
민간 자격증의 장점은 단기간에 손쉽게 취득이 가능하다는 것. 그러나 다른 이에게 올바른 가르침을 줘야 하는 교육·지도사 분야의 경우 전문성은 필수인데, 속성으로 자격증만 취득해 누군가를 강의한다는 건 역부족이다. 때문에 어떤 자격증을 준비하든 취득만을 목적으로 할 게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전문성을 갖추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물론 정 씨처럼 관련 분야의 전공을 이수했거나, 직장 생활과 사회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경우라면 좀 더 유리하다.
“온라인에서도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 많지만 깊게 배우기는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빈약한 실력으로 누군가를 가르치기 어렵다는 건 아마 스스로가 잘 알 거예요. 막상 강의에 나서더라도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고요. 시간을 투자해 역량을 기르고, 공부하고 실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에 부딪혀봐야 다른 이에게도 제대로 된 가르침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아울러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자격증을 땄더라도 강의 실력이 없다면 실전에서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정 씨는 조언한다.
“사람 앞에 나서는 걸 두려워한다면 아무리 자격증이 많아도 활동하기 어렵습니다. 강사 양성 과정이나 실무 프로그램 등을 이수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저 역시 강사로서 역량을 강화하려고 6개월 동안 마포구 고용복지지원센터에서 현장 실무 과정에 참여했어요. 또, 서울시어르신취업지원센터 내일행복학교에서 강사양성 심화교육도 수료했고요. 그 외에도 재능기부나 봉사활동을 하면서 부지런히 실습 경험을 쌓다 보면 자신감이 생길 거예요. 자신을 프로로 인정할 수 있을 때, 다른 사람 앞에서도 프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정 씨는 강사 관련 교육을 수료한 이들과 의기투합해 선배시민문화를 위한 늘샘아카데미 협동조합을 추진 중이다. 이렇듯 강사의 꿈을 안고 만난 인연은 서로 정보를 교류하며 업계 동향을 파악하고 유익한 활동도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돈보다는 경험과 보람을 쌓고 싶어
강사로서 인생2막 포문을 연 정 씨는 서울노인복지센터를 비롯한 데이케어센터, 구청 등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강사로 이름을 알린 지는 3년 남짓이라 아직 수익이 높은 편은 아니라고 한다.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이 있어 강사로 지원했다가 떨어진 적이 있어요. 나중에 강사진을 보니 각 분야 베테랑들이더군요. 인정할 수밖에 없었죠. 그 후 저는 더 많은 실력을 쌓기 위해 노력했고 지금도 도전하고 있습니다. 학생 대상 교육기관에서는 시니어 강사 채용이 드문 편이에요. 사실 시니어 강사 입장에서도 젊은 층보다는 중장년층 동년배를 교육하는 걸 선호하고요.(웃음) 제가 60대인데도 노인복지센터 같은 데 가면 젊은 사람 왔다 하시고 딸처럼 대해주시니 더 마음이 편안합니다. 그렇게 차근차근 경험을 쌓다 보면 수익은 자연스레 따라오게 되겠죠. 물론 돈보다는 배움을 나누는 보람에 더 집중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