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도 그런 이유로 근래에 당구를 신경 써서 배우기 시작했다. 직장을 그만둔 동창 한 사람이 당구장을 운영하면서부터 그곳에서 모임을 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필자는 그때까지 당구봉을 잡아본 경험이 없었다. 옆에서 구경하다 보니 재미있을 것 같기도 하고 어울리기 위하여 게임을 하면서 배우기 시작했다. 배운다고는 하나 전문 지도자를 통한 것이 아니고 함께 당구를 치는 동창들이 한두 마디 해주는 교습이었다. 어떤 경우는 당구공을 치려고 자세를 취하면 옆에 다가와 자신이 직접 채를 잡아 방법을 시범을 보여주기도 한다. 다시 비슷한 위치에 공이 배치되어도 잘 맞추지 못한다. 그 이유는 당구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하지 않은 순간의 지도이기에 그렇다. 수구와 제1 목적구가 맞고 분리되는 각도 등에 대한 이해가 없어서 그렇게 된다. 똑같은 상황이 왔을 때엔 지도 받았던 기억을 살려 그대로 공을 치게 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분위기나 몸의 상태, 당구봉의 밀고 치는 힘의 강도 등에 가르치는 친구의 당구 수준이 차이가 나기에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다.
사람은 누구나 가르치는 것을 좋아한다. 골프 연습장에 가보면 잘 알 수 있다. 배운지 얼마 되지 않는 골퍼도 새로 배우러 온 초보자에게 한 마디 해주기를 좋아한다. 당구장에서도 비일비재한 경우다. 체계적으로 당구를 배운 경우는 많지 않고 당구장에서 몸으로 익힌 사람들이 많아 보인다. 이론적 배경에서 출발하지 않고 이렇게 치면 된다 한다. 그렇기에 설득력이 없게 된다. 또한, 초보자에게 한 마디 교습하는 당사자는 교습방법을 배우지 않아 늘 자기 기준에서 알려주기 때문에 초보자는 이해가 잘 안 되게 된다. 그 점을 간과하고 있어서 시키는 대로 한 경우에도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경험으로 보았을 때 경기 중에는 교습을 하지 않음이 좋다. 진정 알려주고 싶으면 게임이 끝난 후나 별도의 시간을 내어 개별 교습을 함이 바람직하다. 그뿐만 아니라 이 사람 저 사람이 한마디씩 하게 되면 피교습자는 오히려 더 헷갈리게 된다. 각자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나기에 마련이다. 어느 당구 지도자가 당구를 배우려면 한 사람에게 꾸준히 배우라고 한 말에 동감이다. 필자의 경우는 텔레비전 당구 방송을 시청하고 당구 서적을 읽는 등 나름으로 열심히 독학한다. 당구장에서는 다른 사람이 치는 모습을 유심히 지켜본다. 게임을 할 때 친구들이 감 놔라 배 놔라 하지 않고 지켜 보고 있으면 그동안 스스로 익힌 방법으로 괜찮은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동반자들이 참지 못하고 이렇게 쳐라, 저렇게 쳐라 하면 그 순간부터 흐름이 깨어져 공을 잘 맞히지 못한다. 자기제어가 되지 않는 점이 더 큰 문제지만, 진정한 가르침은 상대를 깊이 이해하는 측면에서 출발해야 한다.
친구에게 당구를 가르치려면 눈높이에 맞게 할 필요가 있다. “시작이 반이다”란 말이 있다. 골프나 당구를 비롯한 모든 운동도 그 시작을 제대로 하여야 성장할 수 있다. 그렇기에 섣부른 교습은 오히려 당사자에게 걸림돌이 됨을 기억해두자. “충고”는 돈을 받지 않으면 하지 말라고 조언해준 어느 상담사의 이야기가 가슴에 와 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