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영화 ‘드림 캐쳐’에 자주 나오는 용어이다. ‘Same Shit Different Day’를 줄인 단어이다. 매일 같은 똥만 싼다는 뜻으로, 매일의 삶이 똑 같아서 지루하다는 뜻이다. 인사 조로 "요즘 어떻게 지내?"하고 물으면 시들한 표정을 지으며 "SSDD"라고 답하는 것이다. 그러니 무슨 신나는 일을 만들거나 안 해본 것 중에 위험 부담은 있더라도 새로운 도전이라도 해보자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그럴 수 있다. 매일 같은 날이 반복되면 지루할 것이다. 그러나 시니어들은 안정을 선호하기 때문에 매일 변화가 없다면 오히려 좋아할 것 같다.
젊은 시절에 은행에 근무한 적이 있다. 처음 보직이 ‘Auditing’이라고 ‘감사과’였는데 은행 전반의 일을 의심스런 눈초리로 감시하는 일이었다. 그 자리는 한번 배치 받으면 평생 그 자리에 있게 된다는 선배들의 조언이 있었다. 처음에는 한 달 내내 허덕였는데 일이 익숙해지자 보름 만에 한 달 치 일을 다 끝내고 그날그날 루틴한 일만 하다 보니 시간도 남고 빈둥대는 모습을 보일 수도 없어 곤란했던 적이 있다.
두 번째 직장인 건설회사에 갔을 때는 본사 근무부터 시작했지만, 나머지 기간은 건설 현장에 투입되었다. 건설현장은 보통 3년 내외로 공기가 끝나기 때문에 공사가 끝나면 옮겨가야 한다. 일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일이 얽힌다. 좋은 일도 있지만, 잊고 싶은 일도 있다. 툭툭 털고 새 일을 한다는 것이 새로워서 좋았다. 새로운 사람들과 같이 일한다는 것도 흥분되는 일이었다. 그러나 말년에 여의도 쌍둥이 빌딩이 LG 그룹의 사옥이므로 워낙 큰 공사였다. 그 현장이 끝나니 승진해서 그보다 큰 현장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갈 곳이 없었다.
세 번째 직장인 중소기업 봉제 수출업을 할 때도 돌아다니는 일을 좋아했다. 전 세계를 돌며 오늘은 이도시 내일은 다른 도시 등을 돌아다니며 부지런히 수출 전선에서 뛰는 것이 좋았다. 같은 일을 한지 10년이 넘자 회장은 내게 다른 일을 맡겼다. 수출업이 아닌 수입해서 국내에 파는 내수 사업을 맡아서 해보라는 것이었다. 수출업은 기반이 이미 잘 닦여 있어 거저먹기였으나 새로운 사업은 모든 것이 새로웠다. 다른 임원들처럼 하던 일이나 계속하고 있으면 편할 텐데, 골치 아픈 책임이 뒤따르는 일을 맡은 것이다. 결국 IMF의 직격탄을 맞고 책임지고 물러났다. 그때 SSDD가 좋다는 것을 새삼 느꼈었다.
우리 젊었을 때만 해도 공기업이나 은행 등 한 자리에 계속 근무하다 퇴직하는 직종은 인기가 없었다. 그러나 먼저 퇴직하고 보니 루틴한 일이라도 붙잡고 오래 근무하는 사람들이 부러웠다. SSDD가 더 좋은 직장인 것이다.
시니어가 되고 보니 정말 SSDD가 바람직하다. 신나는 일도 많이 생기지만, 아무 일 없이 편안한 것이 제일이다. 거취를 옮기는 등 무슨 변화라도 생길 것 같으면 몹시 불안해진다. 저녁 늦게까지 친구들과 술자리에서 어울리다가 다음 날 아침은 뒹굴거리며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 얼마나 느긋한가. 아침 일찍 움직여야 하는 일이라도 있으면 전날 저녁부터 술자리도 자제하고 일찍 자야 한다. 아침에 너무 일찍 일어나면 바이오리듬이 깨져서 화장실 가는 것도 생략 된다. 하루 종일 불편한 것이다. SSDD가 행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