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함께, 그리고 현명하게 어른이 된 자녀와 살아가기

기사입력 2016-01-20 13:37

키울 때와 다른 갈등 많아… 새로운 소통방법 필요

▲부모와 성인 자녀가 함께 사는 사례는 점점 늘어가는 있는 추세다. 서울시가 2000~2010년 통계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30대~40대 성인 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는 10년 새 9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성인 자녀가 함께 사는 사례는 점점 늘어가는 있는 추세다. 서울시가 2000~2010년 통계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30대~40대 성인 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는 10년 새 9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성인이 된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황혼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함께 사는 이유는 다양하다. 두 세대 이상의 더부살이는 우선 경제적으로 지출을 줄여준다. 자녀가 맞벌이를 한다면 양육에도 커다란 도움이 된다. 하지만 대신 크고 작은 갈등도 함께 많아진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부모와 자식 간에도 현명한 ‘더부살이 방법론’이 중요해진다는 얘기다.

최근남(64세·남)씨 부부는 서울 구로구의 아파트에서 지난해 10월부터 아들 최현웅(36세·가명)씨와 다시 함께 살고 있다. 아들이 스무 살이 된 이후 16년 만이다. 은퇴 이후 부쩍 외로움을 느끼던 부부였다. 전세금을 피해 도망친 아들의 ‘귀향’이 반가웠다. 아들 내외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화장실이 달린 큰 방을 비워주고 도배도 새로 했다. 사람 소리가 나는 것이 좋았다. 최씨 부부에게도 활기가 돌았다. 장을 보러 나서는 일이 많아졌고 식사도 식사다워졌다.

하지만 얼마 뒤부터 갈등이 시작됐다. 아들의 생활습관을 두고 “애도 아니고 뭐니?” 한마디 했던 것이 시작이었다. 얼마간 말이 오갔다. 기억나는 아들의 대답은 “나갈게요, 나가면 되잖아요!” 였다. 이후 아들과의 충돌은 점차 많아졌다.

한 지붕 2~3대 가구 늘어가는 추세

그동안 우리사회에서는 ‘핵가족화’가 진행돼 왔다.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독립한 뒤에 다시 집으로 들어오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아예 독립하지 않는 자녀들이 늘고 있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함께 사는 자녀를 ‘캥거루족’, 독립한 뒤 다시 집에 들어오는 자녀를 ‘연어족’으로 부르는 신조어도 생겨났다.

부모와 성인이 된 자녀가 한 지붕에서 사는 사례는 점점 늘어가는 추세다. 서울시가 2000~2010년 통계를 분석해 발표한 ‘서울가족구조통계’에 따르면 30~40대 성인 자녀가 가구주인 부모와 동거하는 수가 10년 새 9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 자료인 지난해 통계에서는 60세 이상 서울시민의 45.2%가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비단 한국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나타난다. 독립정서가 강한 미국조차도 18~34세 10명 중 3명(29.9%) 가량이 부모의 집에서 살고 있다는 조사가 나온다. 이 비율은 1990년 26.8%, 2000년 27.7%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현지 언론은 지속된 주택가격 급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일본에서는 20~30대 부모의 집에서 살아가는 30~40대가 약 300만 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녀와 함께 사는 60대, 생활만족도 높아

두 세대가 함께 살면 가족의 삶이 풍성해진다. 다수의 학술연구 결과는 60대 이상 부부들이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자녀 역시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 생활 만족도가 높아진다. 이는 주로 주거·육아 등의 부분에서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면서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일부에서는 아예 두 세대가 각각 살아가기에 용이하도록 설계된 집을 짓고 살기도 한다. 각자의 생활을 최대한 존중한 것이다. 경기 용인시에 거주하는 정순이(59세·여)씨는 전원주택으로의 이사를 계획하면서 아예 아들 내외와 살기 위한 집을 지었다. 두 세대가 한 지붕 아래에 거주하며 가깝게 소통하며 지내면서도 자잘한 간섭이 생길 여지를 없앴다. 정씨는 “주말 낮 북적대는 소리에 우리 부부도 활기를 얻게 됐다”면서 “아들 내외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니 며느리도 큰 불편이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아예 두 세대가 함께 사는 것을 고려해 집을 짓는 경우도 늘어가는 추세다. 특히 서울 등 대도시에서 출퇴근이 가능한 거리의 경우 성인자녀와 살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주택시공업체 H사 관계자는 “두 세대가 함께 살 수 있는 집을 짓고 싶다는 문의가 늘어가는 편”이라며 “최근에는 대형 건설사 아파트 중에서도 세대가 분리된 형태가 나온다”고 말했다.

자녀와 한 집서 살아가려면 갈등관리 중요

다만 예기치 못한 부분에서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 김태현 성신여대 교수(여성학)는 “성인이 된 자녀라고 해도 생각, 관심사, 생활방식은 크게 다를 수 있다”며 “성인자녀들은 부모보다는 배우자나 자식들과 더 밀접함을 느끼고 있어 이러한 세대차이가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성인이 된 자녀의 생활과 가치관 등을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특히 자녀가 어린 시절을 생각하고 권위적인 방식으로 소통에 나서는 경우 갈등이 커지기도 한다. 앞선 최씨의 경우 아들의 생활방식에 대한 아버지의 언급 이후 다툼이 잦아졌다. 최씨의 의도와 달리 아들에게는 권위적인 간섭이 됐을 수 있다는 얘기다.

때로는 경제적인 부분도 갈등의 불씨가 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의 ‘은퇴리포트’에 따르면 성인 자녀 1명과 함께 살 때 추가로 필요한 생활비는 월 98만원이다. 보고서는 60대 부부가 중산층 수준의 생활을 하는 데 월 258만원이 필요한 반면, 자녀 2명과 3년가량 함께 사는 경우라면 총 7056만원의 생활비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