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돌봄 연계 강화

보건복지부는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참여기관으로 60개 의료기관을 추가 지정하며, 전국 센터 수를 기존 135개소에서 195개소로 확대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22년 12월 28개소로 시작한 시범사업이 약 2년 반 만에 7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는 거동이 불편한 장기요양 수급 어르신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자택에서 의료와 지역사회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 팀이 환자 가정을 방문해 ▲의사 월 1회, 간호사 월 2회 이상 방문진료 ▲주거·영양·돌봄 등 지역사회 자원 연계 ▲질병 및 건강관리 교육·상담 등을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대구 서구, 강원 강릉시·영월군, 충남 서산시 등 기존에 센터가 없었던 4개 지역에 지방의료원이 새롭게 참여해 공공의료 기반을 확장했다. 이로써 지방의료원 참여기관은 총 17개소로 늘었으며, 이를 통해 중증환자도 지역 내에서 적절한 재택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센터 이용자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의 복합수가 적용을 받아 경제적 부담도 완화된다. 예를 들어 의사 1회 방문 시 의원급 기준 12만 9650원이 책정되며, 간호 2회 이상 방문이 충족되면 장기요양보험에서 월 14만 원이 별도 지원된다.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본인부담이 없거나 경감된다.
임을기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은 “2026년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에 대비해 의료-요양 연계 기반을 지속 확충하겠다”며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편안히 의료·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센터의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는 전국 113개 시군구에 분포돼 있으며, 앞으로도 공모를 통해 참여 지역과 기관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