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
- ‘건강한 졸업’ 할 수 있는 재가노인복지센터 ‘리하원’
- 2023-06-29
-
- 중년에게 흔한 질환 하지정맥류, 족욕, 반신욕은 되레 부작용 불러
- 2023-06-28
-
- 척추측만증 동반한 교통사고 환자, 한방통합치료 효과 보여
- 2023-06-26
-
- 한의사가 말하는 ‘손목터널증후군’ 효과적인 탈출법
- 2023-06-26
-
- 日 시니어, “반려동물 혼자 남으면 어떡하나” 돌봄 고민 커
- 2023-06-23
-
- [카드뉴스] 더울수록 조심! 4대 식중독균 예방법
- 2023-06-23
-
- 자외선 증가하는 여름, 조심해야 할 ‘3대 피부암’
- 2023-06-15
-
- 국가 돌봄 중장년도 받는다… 공급기관 민영화엔 우려 목소리
- 2023-06-14
-
- 올 봄 2배 많았던 황사, 미세먼지와 무엇이 다를까?
- 2023-06-13
-
- 최적 인공판막 선택하는 ‘연령 가이드라인’ 나와
- 2023-06-09
-
- 고독사 위험군 152만 명 시대, 정부의 예방 계획은?
- 2023-06-01
-
- 자생의료재단, ‘제6회 자생 꿈나무 올림픽’ 광주서 개최
- 2023-05-30
-
- [카드뉴스] 목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스트레칭
- 2023-05-30
브라보 인기뉴스
-

- AI가 돕는 인생 기록법…시니어의 자서전 혁명
- 요즘 시니어 사이에서는 ‘자서전 쓰기’가 새로운 배움의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글로 정리하며, 나아가 세상과 나누는 일. 그것은 단순한 글쓰기 교육이 아니라 ‘나를 배우는 시간’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여기에 AI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자서전 쓰기 교육이 등장했다. 기술이 묻고, 기억이 답하다 많은 시니어가 “내 삶을 한 권의 책으로 남기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나 막상 펜을 들면 어디서부터 써야 할지 막막하다. 인생의 이야기를 어떻게 구조화할지, 어떤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풀어야 할지 혼자서는 쉽지 않기
-

- 시니어에게도 열린 코딩의 세계
- “요즘 초등학생들은 코딩을 배운대.” 이제 코딩은 특정 직업군의 기술이 아니라 사고력을 익히는 하나의 언어로 자리 잡았다. 초등학교 교실마다 블록 코딩, 스크래치,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등 ‘미래형 학습’이 빠르게 정착 중이다. 이런 흐름이 비단 어린이들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해력으로서 코딩을 배우는 시니어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세상 읽고 생각 훈련하는 ‘코딩’ 지난 9월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에듀테크코리아페어’ 현장. 다양한 코딩 교구와 소프트웨어를 체험하는 부스 사이로, 프로그램 일정을 꼼꼼
-

- 세포가 하나하나 살아나는 발레
- 거울 앞에 선 시니어들의 표정이 환하다. “입꼬리 올리고, 발끝도 세워요!” 강사의 구령에 맞춰 몸을 들어 올리는 순간, 무겁던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태안 백화노인복지관의 ‘시니어 발레’ 교실은 흔한 배움터가 아니다. 나이 앞에 망설이지 않고 도전하며 여전히 아름답게 살아가는 이들이 비상하는 무대다. 나이 거스르는 ‘상승의 예술’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노인복지관은 종합 복지 전문기관으로, 만 60세 이상 지역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글 문해와 영어·일본어 등 어학 영역부터 서예·실버 민요·트로트 교실·캘리
-

- 배움이 계속 되어야 하는 이유 “나를 찾는 기쁨”
- 은퇴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한국의 중장년 세대는 과거보다 더 오래 살며, 더 배우고, 더 일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의 배움은 단순한 취미나 자기 계발에 머물지 않는다. 인문학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를 묻고, 생계를 위해 새로운 기술을 익히며, 그 사이의 균형을 찾아가는 진지한 시도다. 김은임 호서대학교 교수와 김찬호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인문학은 자기 해석의 언어를 되찾는 일이고, 실용학은 자기 삶을 다시 세우는 일”이라며, 배움이 중장년에게 가장 강력한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누구인지’ 다시 묻는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