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꽃빛 번져 천지가 붉다

기사입력 2019-08-30 09:12

[더불어 숲] 안동 병산서원 배롱나무 뜰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병산서원 앞 병산 아래로 낙동강이 굽이친다. 서원 답사 뒤에는 강변 산책을 즐겨볼 만하다. 인근 부용대 쪽엔 서애 유성룡이 ‘징비록’을 집필한 옥연정사가 있다. 병산서원을 기점으로 하는 둘레길인 ‘선비길’도 운치 있다. 한 시간쯤 걸으면 하회마을에 닿는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꽃다운 시절은 저물었어도, 꽃 하나쯤 마음에 두는 맛까지 포기할 수 없다. 때로 꽃 보러 뜬금없이 길을 나선다. 해동 무렵엔 동백꽃 보러 월출산에 간다. 몸통에서 분리된 멸치 대가리처럼 이미 맹탕이 된 꿈, 그게 꽃을 본들 푸르륵 새삼 날갯짓을 하겠는가. 꽃을 봐도 꽃이 없다. 하나, 피기만 하는 게 꽃은 아니다. 목숨 있는 것들, 머잖아 다들 저문다. 그러니 저무는 꽃도 꽃이요, 저무는 인생도 인생이다. 순리를 안다는 건 내 주제를 깨달아 수긍하는 일일 게다. 야야, 저문 꽃날에 앙앙불락할 거 없다! 꽃 보러 간 내게 꽃이 하는 얘기가 대개 그렇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안동 병산서원에 꽃이 한창이다. 꽃빛 번져 천지가 붉다. 배롱나무들 일제히 꽃을 피워 서원의 뜰과 늙은 기둥과 잠잠한 기와지붕에까지 붉은 물이 든다. 화양연화(花樣年華), 배롱나무의 아름다운 시절이 바야흐로 절정에 달했다. 백 일쯤 계속 피는 꽃이니 절정치고는 별나게 길다. 폭죽처럼 일시에 작렬하다 일시에 지는 벚꽃은 명함도 내밀 수 없다. 언제 한 번 꽃 피어본 일 없는 인생은 차라리 혀를 깨무는 시늉이라도 해야 하나.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배롱나무의 개화기가 긴 건 기묘한 전략을 써서다. 꽃을 아끼는 꽃이지 않은가. 한꺼번에 꽃을 피우지 않고 차례로 개화하도록 꾀를 쓰는 게 아닌가. 한 송이가 지면 또 한 송이가 연이어 올라온다. 먼저 핀 송이가 지자마자 대기해 있던 망울이 송이로 벌어져 빈자리를 채워 넣는다. 꽃들의 ‘인해전술’이다. 무릇 욕망을 아껴 쓰지 않고 욕망을 이룰 수 없다. 빠르게 가는 것은 천천히 가는 것들보다 오래갈 수 없다.

병산서원은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이 터를 잡아 건립했다. 서원 뒤편, 서애의 위패를 모신 사당 존덕사 계단 옆에 사는 배롱나무의 수령은 400년에 가깝다. 유학자들은 배롱나무를 선비의 표상으로 여겼다. 이 나무는 허물 벗는 뱀처럼 스스로 껍질을 벗는다. 그래 줄기가 미끈하다. 군더더기 없이 깨끗하다. 유학자들은 그걸 청렴결백의 상징으로 봤다. 절집에 흔히 배롱나무가 있는 것도 비슷한 까닭에서다. 집착이라는 허물, 망상이라는 허울을 훌훌 벗은 수행승의 참모습을 걸친 것 없는 배롱나무의 형상에 견주었다. 전혀 다른 눈도 있었다. 오히려 불경하게 취급해 집 안에 심기를 꺼렸다. 배롱나무의 맨 살갗에서 발가벗은 여체를 연상했던 것이다. 나무 하나를 놓고도 사람들의 감관이 이렇게 서로 다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불난 호떡집도 아닌 것을, 병산서원에 사람들이 몰려들어 복닥거린다. 하기야 꽃놀이패가 배롱나무의 호시절을 놓칠 리 없다. 여름날의 병산서원 배롱나무꽃은 이미 파다하게 알려졌다. 꽃구경은 보너스로 치고, 서원의 고풍(古風)과 풍취에 반해 한 번 찾은 뒤로 다시 찾는 이도 많다. 한국의 서원 건축 가운데 가장 빼어나다는 평도 숱하다. 산수 간에 들어앉은 건축물이 구현할 수 있는 최상의 자연스러움을 지니고 있어서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거저 얻은 자연스러움이 아니다. 건축을 할지언정 인위의 개입을 애써 자제한 흔적이 그걸 알게 한다. 몸을 낮추고서도 한 번 더 몸을 낮추는 일, 유학자들은 그걸 본분으로 삼았다. 신독(愼獨)이라 하지. 홀로 있는 골방에서도 들여다보는 눈이 곁에 있는 것처럼 스스로 삼가길 수양의 방편으로 알았다. 그러니 집을 짓더라도 분에 넘치는 치장을 할 리가 있었겠는가?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서원이란 한마디로 학교. 서책만을 도구로 삼지 않았다. 자연을 경(經)으로 읽어 심성을 북돋우는 노력을 등한시하지 않았다. 그 점에서 병산서원은 자연을 가르치는 교실이기도 했다. 만대루(晩對樓)를 보라. 자연 풍경을 끌어들이기 위해 서원 전면에 세운 누각이다. 사방으로 벽이 없으니 뭐 하나 가두지 않는다. 솔바람이 지나가고 물소리가 흘러간다. 나비가 날아들고 잠자리가 쉬어간다. 달빛이 들이치고 노을빛이 다녀간다. 사람인들 가둘까보냐. 만대루에 오르거든 마음의 감옥에서 탈주할 일이다. 내가 나를 가두지 않는 한, 나를 가둘 수 있는 건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는 걸 득달같이 알아차릴 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