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기사입력 2018-03-09 09:34

최근 우리 사회의 가장 뚜렷한 흐름은 단연 ‘혼자 살기’가 아닐까 싶다. 방송마다 최고의 시청률을 올리는 대표 연예 프로그램은 대부분 혼자 생활하는 모습을 들여다보며 즐기는 리얼 예능들이다. ‘나 혼자 산다’나 ‘미운 우리 새끼’ 같은 프로가 지상파 예능을 먹여 살린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정교하게 연출된 장면들이겠지만, 남의 사생활을 엿보는 재미가 쏠쏠하기도 해 제법 롱런하고 있다.

시청률에 목맨 TV 예능 프로그램이 현실의 트렌드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일진대 이런 프로가 득세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비혼, 독신 풍조가 이미 일반화했다는 방증이다. 특히 ‘미운 우리 새끼’는 예능 사상 처음으로 늙은 자식의 노모들이 등장하여 혼자 사는 모습에 안쓰러워하며 안달하지만, 나이 50 전후의 늙은 아들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즐긴다. 엄마들의 결혼 걱정과 상관없이 어느덧 이 프로는 역설적으로 홀로 사는 즐거움을 홍보한다.

현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주변에서도 이미 결혼 채근을 포기한 지 오랜 젊은(?) 자식들이 즐비하다. 과거에는 결혼하여 아기 낳고 가정생활 속에서 재미와 행복을 찾았다면 지금은 그것 말고도 즐길 일이 널려 있어 딱히 결혼에 목맬 필요도 없다. 혼자 사는 프로그램 말고도 또 다른 예능의 양대 산맥인 여행이나 ‘먹방’이 대세를 이루는 것은 이런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그리 간단치 않은 듯하다. 최근 한양대 전영수 교수가 펴낸 <한국이 소멸한다>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책에 의하면 이런 ‘혼자 살이’ 현상이 젊은이들의 가치관이 바뀌었기 때문이 아니라 암담한 현실에 대한 그들 나름의 복수라고 본다. 그의 표현을 빌리면 ‘출산 파업’ 혹은 ‘치명적인 집단 복수’란다. 그런 시각으로 보면 그들이 즐기는 모습이 신나기는커녕 마음이 짠하다.

혼자 살기를 즐기는 그들은 알고 보면 태어나면서 외환위기와 같은 불황을 겪었고 고도성장기도 끝나 역사적으로 부모보다 부자가 된다는 명제를 깬 최초의 세대라고 한다. 그래서 그들이 어쩔 수 없이 고안해 낸 생존 카드는 현실과 타협적인 행복 추구권이 되었다는 말이다. 이를테면 적게 벌어 적게 쓰고, 할 수 있는 한 덜어내고 줄인다. 결혼이 장벽이라면 아예 피하는 쪽을 택한다. 그러니 결혼 안 한다고 그들을 채근할 일이 아니다.

요즘 들리는 소식은 더 암담하다. 결혼 가구당 출산율이 OECD 국가 중 압도적인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지만, 작년 12월 드디어 사망자 수가 신생아 수를 추월했단다. 이는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는 현실과 맞물리면서 저자가 우려하는바 대한민국이 사라진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나 젊은이들 걱정할 때가 아니다. 문제는 국가의 미래보다 당장 우리의 코앞에 닥친 노후의 삶이다. 인구가 줄어 일할 젊은이들이 사라지면 가장 고통스러운 계층이 노년층일 것이다. 국가가 부양할 힘이 없을 때 그들은 이 사회의 짐으로 전락한다. 불현듯 제목만 기억하는 오래전 영화가 떠오른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언젠가 ‘미운 우리 노친네’라는 TV 예능 프로가 등장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