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영화 <군함도>를 보고

기사입력 2017-08-18 16:33

▲영화 <군함도>포스터(이찬만 동년기자)
▲영화 <군함도>포스터(이찬만 동년기자)
서울시가 광복 72주년 보신각 타종 행사에 ‘군함도’로 강제징용 갔다 돌아온 생환자를 포함시켰다. 늦었지만 반가운 일이다.

72주년 광복절을 맞아 아내와 영화 군함도를 관람했다. 영화에서 본 강제징용도 역사적 사실만큼 끔찍했다. 2차 세계대전 말기 일제는 한 명의 조선인이라도 더 끌고 가기 위해 혈안이 되었다. 강제징용에 끌려간 조선인은 사람이 아니었다. 말 그대로 군수품이고 소모품이었다. 군함도의 조선인들은 날이 채 밝기도 전에 굴속에 들어가 삽질을 시작했고 날이 저물어 삽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맞아가며 가혹한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흙탕물로 갈증을 달래며 삽질을 했고 영양실조와 질병으로 쓰러지거나 죽어야만 실려 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유승완 감독의 군함도는 거기까지였다. 영화는 조선인을 학대한 조선인에게 포커스가 맞춰졌고, 조선인을 배반하고 우롱하는 독립투사에게 맞춰졌다. 일제에 의한 핍박과 역사적 사실의 조명보다 조선인과 조선인이 싸우는 허리우드식 블록버스터가 되고 말았다. 일제 강점기에도 조선인에게 유독 악질적으로 대한 조선인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지만 피해자 입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서술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아무리 재미를 추구해야 하는 영화라 해도 악질적 조선인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어떻게 이런 자학적 시나리오가 가능했을까. 젊은이들이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덩케르크’에 더 높은 점수를 준 것도, 영화의 기저에 친일적 사고가 깔려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세간의 의혹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전쟁을 위해 강제징용으로 희생된 조선인은 부지기수였다. 한 철도 공사장에서는 철도 교각에 조선인 시체를 넣고 시멘트로 봉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숨이 붙어 있는 산사람까지 생매장을 했다니 공사장은 글자 그대로 조선인의 무덤이었다. 강제징용의 피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발생했다.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 의하면, 1938년 4월부터 1945년 해방 전까지 일제는 국내에서 6956곳의 작업장을 운영했으며, 그 기간 중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648만 8000명이나 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조선인구가 삼천만 명이 되지 못했으니 그 숫자만으로 강제징용의 피해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었다.

다시 군함도로 가보자. 1890년 하시마(군함도)섬을 인수한 미쓰비시는 전쟁이 한창이던 1940년부터 패할 때까지 강제징용된 조선인들에게 석탄을 채굴토록 했다. 전범기업 미쓰비시는 강제노역으로 캔 석탄을 이용해 전쟁 물자를 생산했고 굴지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군함도는 잊혀졌다. 강제징용된 조선인들은 군함도를 떠났고, 1974년 지옥 같았던 탄광이 석탄산업의 쇠락과 함께 마침내 폐쇄됐기 때문이다. 조선인의 강제징용 사실을 숨긴 일본은 2015년 7월 군함도 전체를 관광자원화 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그동안 강제징용에 대한 보상은커녕 제대로 된 사과도 없었다. 일본의 인접 피해국에 대한 역사인식의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이었다. 위안부 문제와 크게 다를 바 없었다. 마치 위안부 문제가 그랬던 것처럼 군함도에서 조선인 징용자들이 겪은 고통도 뒤늦게 생존자를 통해 들을 수 있었다. 일제의 강제징용을 고발하고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을 위로하기 위한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서울 용산역 광장에 건립됐다. 그 건립 과정이나 목적이 위안부 소녀상을 빼닮았다. 그러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군함도에서 희생된 조선인 강제징용 희생자들에 대한 일본의 사과는 없다. 아직 위안부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않고 있는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으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해서 쉽게 사과할 것 같지도 않다.

영화 군함도를 관람한 후 일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역사의식이 부족한 우리에게 일본이 과연 제대로 된 사과를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드는 것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까. 왜곡된 역사인식으로 인하여 영화가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보도가 씁쓸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