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3월 7일 개봉 영화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기사입력 2019-03-04 17:32

젊은 언어학자 마틴(페르난도 알바레즈 레빌)이 시크릴어를 연구하러 정글과 바다가 있는 시골 마을 산이시드로를 찾는다. 하신타 할머니가 곧 돌아가시는 바람에 500년 전 번성했다는 다신교 문화 언어 시크릴어를 아는 이는 이사우로(호세 마누엘 폰셀리스)와 에바리스토(엘리지오 멜렌데즈) 두 할아버지뿐. 젊은 시절 둘도 없는 친구였다는데 지금은 50년 넘게 왕래를 끊은 사이란다. 무엇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두 노인을 이토록 증오하게 만든 것일까. 그리고 마틴의 연구는 이어질 수 있을까.

▲영화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포스터(에이케이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포스터(에이케이엔터테인먼트 제공)

파도치는 해안가에서 두 청년과 한 여성의 행복하고 아름다운 한때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사라져가는 원주민 언어에 대한 안타까움, 신을 통한 구원을 가르치는 가톨릭과 원시 신앙, 노년 세대와 젊은 세대의 우정, 긴 애증의 세월과 짧은 화해의 시간을 그린다. 이 모든 이항 대립은 마틴이 에바리스토의 손녀 주비아(화티마 몰리나)와 하신타 할머니의 딸 플라비아나(노르마 안젤리카)의 조력으로 이사우로와 에바리스토 두 할아버지를 녹음기 앞에 앉히는 어려운 과정을 통해 서서히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비 내리는 정글과 드넓은 해안으로 대표되는 자연, 죽은 영혼과 대화를 나누는 원주민의 영적 세계가 두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신비롭게 그려지고, 영어 방송을 하며 미국으로의 이주를 꿈꾸는 주비아와 그녀가 시크릴어를 배우기를 바라는 마틴의 사랑은 경제적 돌파구와 지적 탐구를 추구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이 영화가 전하고 싶었던 것은 정복자 종교인 가톨릭의 신이 요구하는 죄의식 조장으로 평생을 갈등과 고통 속에 살았던 세월에 대한 위로라 할 수 있다. 첫 장면에서 본 두 청년은 마리아라는 여성을 두고 갈등한다. 에바리스토는 이시도르가 유혹한 것이라며 마리아에게 결혼을 통한 구원을 애걸한다.

마리아가 세상 떠난 지 5년. 에바리스토는 손녀의 보살핌을 받으며 지낸다. 그러나 에바리스토로부터 칼로 위협을 당하기까지 했던 이시도르는 평생 미친 사람이라는 손가락질 받으며 홀로 외롭게 산다. 마틴의 연구 과제와 보살핌으로 겨우 웃게 된 이시도르는 그러나 죽음을 앞두고 다시 한 번 에바리스토에게 내침을 당한다. 남은 생은 이시도르와 함께하라는 마리아의 회한에 찬 유언에도 불구하고 에바리스토가 가톨릭의 죄의식에 자신을 묶어두었기 때문이다. 에바리스토가 어디를 가든 지고 다니는 나무 의자는 마치 그의 십자가 같다.

▲영화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스틸컷(에이케이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스틸컷(에이케이엔터테인먼트 제공)

진정으로 사랑했던 동성을 내치고 이성을 택했던 에바리스토. 할머니 마리아로부터 할아버지 에바리스토의 비밀을 들었던 주비아는 이제라도 이시도르 할아버지에게 가라고 하지만, 에바리스토는 손녀 품에 안겨 울 뿐이다. 이시도르가 죽어가면서 그토록 보고 싶어 했건만.

죽음에 이르는 마지막 순간까지 숨기고 외면해야 할 감정, 세상의 규칙, 종교가 있다는 게 두렵다. 사랑했던 이를 평생 외롭고 가난하게 살게 한 것보다 더 큰 죄악이 있을까.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는 죽음이 가까운 노년 세대에게 후회가 남지 않도록 진솔한 고백을 하고 눈 감으라 호소하는 듯하다. 마지막 장면, 죽은 원주민들이 산다는 동굴 앞에서 이사도르와 에바리스토가 나누는 시크릴어 대화가 유머러스한 카타르시스를 안기는 이유가 되겠다.

멕시코 감독 에르네스토 콘트레라스의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는 압도적인 자연 풍광, 그리고 새들과 대화할 때의 사운드를 보고 들으려면 극장 감상이 필수다. 이 작품은 2018년 멕시코의 아카데미상인 아리엘 어워드에서 작품, 시나리오, 촬영, 사운드, 작곡, 남우 주연(엘리지오 멜렌데즈) 상을 받았다. 2017년 선댄스영화제에서는 감독상과 관객상을 받아 대중성도 겸비한 영화임을 알렸다.

극 중에 나오는 시크릴어는 이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언어란다. 웅얼거리는 듯한 낮은 음조의 언어와 노래가 마음을 울렸는데 정말 뜻밖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