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중국 교포들과의 국제결혼

기사입력 2018-06-29 15:07

얼마 전까지 가장 많은 국제결혼의 신부 대상자들은 중국 조선족 교포들이었다. 같은 민족이고 말이 통하니 최고의 대상자였다. 그러나 지금은 1위 자리를 베트남에 넘겨주게 되었다. 여전히 최고 국제결혼 신붓감으로 조선족 교포들을 꼽고 있지만, 세월이 많이 흘렀고 이제는 세상이 많이 변했다.


주로 연변에 살고 있던 중국 교포들이 국제결혼의 대상자가 된 것은 1992년 한중 수교를 시작점으로 봐야 한다. 그전까지만 해도 조선족 교포들은 남한에 대해 거의 모르는 실정이었다. 북한의 영향권에 있었다고 보면 된다. 모든 정보가 북한을 통해 나오고 교류도 남한보다는 북한 위주였다. 한국 전쟁 직후 한동안 북한이 남한보다 더 잘 살았던 시기도 있었고 여전히 그런 줄 알고 살았다는 것이다.


상황이 급변하게 된 것은 1985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게 되면서 남한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1971년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우리 측이 제시하여 1985년에 첫 상봉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당시 눈물 없이 볼 수 없었던 KBS 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에 조선족 교포들도 해당하는 사람이 있었다. 이 방송은 세계 역사상 전무후무한 64%대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138일간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선족 교포들이 한중 국교 수교로 방문할 수 있어지자 한국 방문을 해보고 남한의 실제 모습을 조선족 교포들에게 전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남한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에 방문 자체도 주저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방문을 한 교포들에 의해 조선족 교포들에게 새 세상을 소개한 것이다. 방문했던 교포들이 보고 간 남한은 별천지이자 희망이었다.


이 분위기를 타고 국제결혼이 붐을 이뤘다. 결혼 중개업체들이 몰려가서 20살~25살 처녀들을 대상으로 주로 남한 농촌 총각을 소개한 것이다.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국제결혼을 한 조선족 교포들이 남한에 왔으나 농촌 총각과 결혼하고 보니 실상은 기대와 달리 연변과 별 차이가 없었을 수도 있다. 공무원이나 버젓한 직업이 있는 사람들은 비자가 쉽게 나왔으나 농촌 처녀들은 그렇지 못하니 브로커들을 통해 비자를 만들었다. 여기저기 빚을 얻어 만든 돈으로 브로커들을 통해 한국에 왔으나 갚을 길이 막연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몇 달 치 월급으로 갚을 수 있다고 들었으나 농촌으로 간 조선족 교포들이 당장 월급을 받는 위치가 아니다 보니 가출하는 신부들이 늘어났을 거라는 얘기다.


노무현 정부, 김대중 정부 때는 조선족 교포들에 대한 문화가 대폭 개방되어 연변 조선족 교포들이 어렵지 않게 입국할 수 있었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약간 까다로워졌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간단한 시험만 합격하면 3년 비자를 받을 수 있고 대학 졸업자는 곧바로 5년 비자가 나와 한국 입국이 쉬워졌다고 한다. 그러므로 자유 입국해서 자유 연애로 국제결혼을 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제 조선족 교포들은 한국 사람들과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한국 TV 방송이 온종일 방영되고 왕래가 잦아지자 한국 사람들이 다 된 것이다. 한 집에 한두 명은 한국에 나와 있고 더 나아가 일본, 미국 등지까지 진출해 있다고 한다. 연변에 조선족 교포들이 300만 명가량 살고 있었으나 지금은 80만 명 정도로 한국에 나와 있는 숫자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일본에도 30만 명가량이 나가 있다고 한다.


또 다른 문제는 조선족 교포들도 비혼 바람이 불어 굳이 결혼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선족 처녀들이 대거 한국으로 넘어가자 남은 총각들은 그 빈자리를 북한 처녀들과 결혼하는 예가 많다고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