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치매 예방은 40대부터

기사입력 2017-10-19 10:47

[동년기자 페이지] 치매에 대한 회포

치매에 걸린 남편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남편이 밥을 먹는데 아내가 곁에서 지켜보고 있다. 밥을 먹던 남편이 휴지에 밥을 싸기 시작한다. 누굴 주려고 밥을 휴지에 싸냐고 묻자 남편은 “너 먹어” 하며 휴지에 싼 밥을 아내에게 내민다. 아내는 기가 막힌 표정으로 껄껄 웃고 만다.

TV에서 보았던 다큐의 한 장면이다. 아내 사랑이 지극했던 남편이 치매 때문에 기억을 하나씩 지워가고 있는 걸 지켜보는데 코끝이 찡했다. 하지만 현실에서 겪는 치매는 다큐처럼 찡하지도 다정하지도 않다. 그저 힘겹고 혹독한 시간의 연속일 뿐이다.

외출했다 돌아오는 시아버지는 대문에서부터 손녀딸을 큰 소리로 부르며 들어왔다. 예쁜 손녀를 위해 매일 스펀지케이크를 사왔다. 이걸 누가 먹는다고 매일 사오냐고 시어머니는 현관에서부터 잔소리를 늘어놓았지만 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마찬가지였다. 케이크를 다른 빵으로 바꾸어 오기도 하고, 어느 날은 환불해 달라는 미안한 부탁을 하러 제과점으로 뛰어다니긴 했어도 시아버지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우리는 몰랐다.

가끔씩 땀을 뻘뻘 흘리며 돌아올 때도 있었다. 길을 잃어 힘들었다며 히쭉 웃었다. 아버님이 좀 이상하다고 하니 어머니는 “얘는 별말을 다 한다”며 서운해했다. 그때 아버님은 60대 중반을 막 넘긴 나이여서 가족들은 아버님에게 다가오는 치매 증상을 얼른 알아채지 못했다.

왜 이렇게 늦게 찾아왔냐는 의사의 말에 반성할 새도 없이 아버님은 무섭게 나빠졌다.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왔는지도 모르고, 사랑했던 사람들도 알아보지 못해 가족 모두를 고통에 빠뜨렸다. 가끔씩 정신이 돌아올 때면 수줍게 웃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아내를 향해 고함을 지르고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을 해댔다. 과묵하고 점잖던 집안의 가장이 심술쟁이 욕쟁이 할아버지로 변해갔다. 누가 누구인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욕설은 정확히 어머니에게로 향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지만 그것이 아내의 의무라 생각했는지 내색조차 하지 않았다. 다만 뽀얗던 어머니 얼굴이 새까맣게 변해가는 걸 보고 그 고생을 짐작해볼 뿐이었다.

치매에 걸려 고생하다가 돌아가신 아버님을 본 후 치매가 암보다도 더 무서운 병이라는 걸 알았다. 가족들은 말은 안 하지만 치매에 대한 불안증을 안고 산다. 만일 치매에 걸린다면 본인에게는 물론, 가족들에게도 엄청난 고통을 준다는 걸 생생히 경험했기 때문이다.

치매는 노화의 일부이고 누구든 걸릴 수 있는 병이지만 건강한 생활습관만 길러도 발병률이 50%나 감소된다고 한다. 문제는 이런 생활습관을 몸에 익히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나덕렬 교수는 헬스장에서 근육을 키우듯 뇌도 열심히 훈련하면 건강해지고 근육이 생긴다며 술, 담배를 끊고 바른 식습관으로 체중을 조절하고 운동을 하는 등 바른 생활을 할 것을 권했다. 그러면서 독서나 글쓰기, 악기와 외국어 배우기 등 앞쪽 뇌를 자극하는 활동이 치매 예방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그가 권한 것들은 우리가 생활에서 실천하기 어렵지 않은 항목들이다. 치매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는 질환이 아니고 발병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20년 이상 긴 잠복기를 거친다. 60대에 온 치매는 이미 40대에 내 몸속에 잠복해 있던 것이다. 그러니 치매가 걱정된다면 40대부터 미리미리 치매 예방습관을 들여야 한다. 이것이 치매로 아버님을 떠나보낸 나와 우리 가족이 얻은 가슴 아픈 교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