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스님의 죽비가 그립습니다”

기사입력 2017-06-17 09:04

[부치지 못한 편지]

<성철 평전>을 집필한 김택근 작가가 성철 스님께 보내는 편지를 보내왔습니다. 위선과 아만과 허무가 넘실대는 요즘, 세상을 깨웠던 스님의 장군죽비가 그립다는 사연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글> 김택근 작가·언론인

성철 스님, 감히 스님의 삶과 사상을 들춰서 <성철 평전>을 출간했습니다. 책은 쇄를 거듭해 팔려나가고 있습니다. 그럴수록 자꾸 부끄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스님께서는 남김없이 비우고 떠났지만 저는 스님의 생을 완전히 태우지 못했습니다. 스님께서 세상에 계셨더라면 죽비를 들어 이렇게 일갈하셨을 것입니다.

“어찌 사량분별로 허튼짓을 했단 말인가.”

일개 서생이 글자를 동원하여 고승의 생을 옮겼으니 실로 무모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반딧불로 수미산을 태워보겠다는 어리석음이었습니다. 그래도 스님의 생을 따라가 보고 싶었습니다. 영원한 자유를 얻는 깨달음의 실체가 무엇인지 알고 싶었습니다.

스님께서는 제자들에게 곧장 젊은 날의 고뇌와 방황을 얘기하셨지요. 영원한 행복을 찾기 위해 책 속으로 들어갔지만 책은 답을 주지 않았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채근담강의>를 읽다가 한 곳에 눈이 딱 멈췄습니다.

‘나에게 한 권의 책이 있으니, 종이와 먹으로 만든 것이 아니다. 펼쳐 여니 글자 한 자 없으나, 항상 큰 광명을 발한다(我有一券經 不因紙墨成 展開無一字 常放大光明).’

글자가 없는 경전. 스님의 수행은 결국 문자를 버리는 데서 시작됐습니다. 깨달음은 책에 있지 않고 마음에 있었습니다. 깨달음은 글자로는 이룰 수 없는[不立文字] 것이었습니다.

‘교(敎)는 부처님 말씀이요, 선(禪)은 부처님 마음이다.’

아, 얼마나 명징한 비유입니까. 이 구절을 읽으며 무릎을 쳤습니다. 스님께서는 결국 마음을 닦는 참선에 들었습니다. 스님의 수행은 뼈가 으스러지는 고통이었습니다. 저는 당시를 상상만 해도 소름이 돋습니다.

스님께서 저 언덕으로 건너가신 지 벌써 24년이 되었습니다. 남아 있는 우리는 이렇듯 시간을 헤아리지만 스님께서는 시간을 벗어나 계실 것입니다. 스님께서 열반하신 1993년 11월의 해인사가 떠오릅니다. 다비식 날에는 비가 내렸습니다. 찬비는 남은 자들의 가슴속으로 흘러들었습니다. 바람 불고 잎이 지고 사람들은 오열했습니다. 이 시대 사람들은 지난날 지구라는 별에서 성철이라는 이름의 스님과 함께 또 다른 진리의 별을 바라보았습니다. 그것은 축복이었습니다. 위선과 아만과 허무가 넘실대는 세기말에 최선을 다해 살다 간 선승의 삶은 아쉬움 너머의 희망이었습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었습니다. 스님께서는 평생 누더기를 걸치고 음식 또한 가장 적게 드셨습니다. 아마도 세상에 머문 자리가 가장 적게 패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삶의 향기는 가장 멀리 날아갔습니다.

스님께서는 숱한 법어를 남기셨지만 제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 1982년 부처님오신날에 발표한 ‘자기를 바로 봅시다’였습니다. 스님, 다음 구절을 기억하시지요.

“부처님은 이 세상을 구원하러 오신 것이 아니요, 이 세상이 본래 구원되어 있음을 가르쳐주려고 오셨습니다.”

저는 이 법어를 읽으며 스님의 길을 따라 걷고 싶어졌습니다. 중생이 변하여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고 본래 중생이 부처였던 것입니다. 우리가 마음의 눈만 뜨면 자신의 본래 모습인 부처를 볼 수 있으니, 내가 있는 이곳이 부처가 사는 불국토요, 극락이라는 것입니다. 극락은 그래서 하늘에 있는 것도 아니고, 저 먼 나라에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서 처음 정각을 이루시고 일체 만유를 다 둘러보시며 말씀하셨습니다.

“기이하고 기이하구나! 일체 중생이 모두 여래와 같은 지혜덕상이 있건마는 분별망상으로 깨닫지 못하는구나.”

부처님의 이 말씀이 불교의 시작이었습니다. 이렇듯 사람마다 무한한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지구라는 별에서 선포한 사람은 부처님이 처음이었습니다. 스님께서는 분명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켰는데 사람들은 아직도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쳐다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스님께서는 눕지 않는 수행 장좌불와(長坐不臥) 10년, 산문 밖을 나서지 않는 동구불출(洞口不出) 10년 등 많은 일화를 남겼습니다. 하지만 저는 스님께서 주도하신 봉암사결사야말로 비할 수 없는 위대한 불사(佛事)로 여깁니다. 마침 올해는 봉암사결사 7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도 부처님 법대로 살아보자’는 산중의 포효는 지금도 선승들을 깨우고 있습니다.

“먹고살 길이 없으면 강도짓을 할지언정 천추만고에 거룩한 부처님을 팔아서야 되겠는가.”

한국 불교는 봉암사결사 이전과 이후로 확연하게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봉암사에서는 법당에서 불교 아닌 것들을 모두 추방했습니다. 오직 부처님과 그 제자들만 모셨습니다. 가사, 장삼도 새로 만들어 입었습니다. 원색을 추방하고 괴색으로 통일했습니다. 요즘 스님들의 장삼이 그때 만들어진 것입니다. 또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는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을 실천했습니다. 당나라 때 백장 스님의 청규정신을 이어받은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을 공주규약에 담아 그대로 실천했습니다. 봉암사결사의 공주규약은 오래된 법이었지만 삿된 것들을 물리친 새 길이었습니다. 스님께서는 또 우리 불교계에 삼천 배를 남기셨습니다. 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대문을 들어올 때는 돈 보따리와 계급장은 소용없으니 일주문 밖에 걸어놓고 알몸만 들어오라고 하지요. 사람만 들어오라 이겁니다. 그리고 들어오면 ‘내가 뭐가 잘났다고 당신을 먼저 만날 수 있나?’ 하지요. 부처님을 찾아왔다면 부처님부터 뵈라는 뜻입니다. 부처님을 정말로 뵈려면 절을 삼천 번은 해야지요.”

어찌 보면 절은 자기 자신에게 하는 것입니다. 어떤 상(像)이나 그림이나 조각에 절을 해도 결국은 자신에게 돌아옵니다. 흙덩이나 썩은 나무에게 절을 했더라도 성심을 다했다면 그 간절한 마음이 자신을 정화시킵니다.

몸으로, 말로, 생각으로 지은 삼업(三業)의 몸뚱이를 아래로 내던지는 자체가 바로 참회입니다. 욕심과 분노와 어리석음을 앞세우고 세상에 머리를 치켜든 사람들이 절을 하면 아만(我慢)이 사라집니다. 절하는 사람에게는 평화가 찾아옵니다.

삼천 배를 하면 비로소 이웃과 생명이 보인다고 합니다. 삼천 배를 마치면 거의가 눈물을 쏟습니다. 참회의 눈물이며 환희의 눈물이며 고마움의 눈물인 것입니다. 삼천 배를 마친 신도들을 스님은 어떤 눈길로 바라보셨는지 궁금합니다. 삼천 배는 분명 나를 씻기는 기도입니다. 스님께서 또 ‘남을 위해 기도하고, 남모르게 남을 도우라’고 이르셨습니다.

“불교는 세상과 거꾸로 사는 것입니다. 세상은 전부 내가 중심이 되어 나를 위해 남을 해치려고 하는 것이지만, 불교는 나를 완전히 내버리고 남을 위해서만 사는 것입니다.”

깨친 사람은 은둔의 도사가 아니고, 신통력을 지녀 이를 과시하는 사람도 아닙니다. 도를 얻었으면 중생을 사랑하고 제도해야 합니다. 그것이 상구보리(上求菩提)면 하화중생(下化衆生) 아니겠습니까.

하지만 남을 돕는 것도 어려운데 남몰래 남을 돕는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마음에 남을 도왔다는 자국 자체가 없어야 진정한 불공입니다. 도와주었다는 뿌듯함이나 숭고함이 남아 있다면 진정한 보살도를 행함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스님의 호통이 귀에 쟁쟁합니다.

“아까운 돈과 몸으로 남 도와주고 왜 입으로 공덕을 부수어버리는가?”

남을 돕고 불공을 자랑하는 것은 결국 자신을 속이는 일입니다. 성철 스님은 그래서 ‘자기를 속이지 말라(不欺自心)’고 이르셨습니다.

요즘 특별한 스님들, 목소리 큰 스님들이 많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자신에게 감탄하고 자신을 숭배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저마다 이름 하나 간수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습니다. 더 큰 밥그릇을 찾고 포만감에 뒤뚱거리고 있습니다. 자기 집의 무진장 보화는 놔두고 밖에서 거지 노릇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새삼 스님의 죽비가 그립습니다.

스님, 두서없이 길어졌습니다. 글을 마치며 이 편지를 보낸다면 부칠 곳이 어딘지 생각해봤습니다. 스님께서는 지금 어디 계십니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