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동창 삼총사와 영화를 보기 위해 만났다. 새해 초에 한 번 만났는데 또 급히 모인 건 오늘 개봉하는 영화를 보기로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 달에 한 번 영화 관람을 하는데 꼭 보고 싶은 영화가 있어 개봉하는 날 보자고 약속했다. 제목은 ‘말모이’. 언뜻 들으면 말에 관한 영화가 아닐까 생각하겠지만 우리말을 모아놓은 사전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이야기다.
오랜만에 명동 CGV를 찾았다. 오전이고 평일이어선지 관객이 많지 않았다. 우리는 신분증을 보여주고 우대권을 샀다. 우대권으로 5000원이면 영화를 볼 수 있으니 정말 좋다. 우대권이 없을 때는 조조 영화를 봤다. 아침 일찍 서두르던 때를 생각하니 우습기도 하고 부지런했던 그때가 더 좋았나? 반문해보기도 한다. 어쨌든 나이 들어 대우받는 것이니 좋게 생각하자며 또 웃었다.
항상 선호하는 자리를 선택하고 앉았다. 영화의 배경은 일제강점기다. 화면의 극장 간판에 여배우 최은희의 모습이 반갑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지 않아 그 시절은 잘 모르지만, 최은희는 그때부터 영화배우로 활동을 했나보다. 영화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하면서 나라뿐 아니라 우리의 정신도 빼앗으려고 말과 글을 없애려 했음에도 의인들이 일제의 눈을 피해 우리말 사전을 만드는 험난한 과정을 그렸다.
주인공 윤계상의 선 굵은 연기도 좋았고 유해진의 넉살스러운 연기와 출연진 모두의 모습이 감동을 주었다. 나는 친구들 몰래 몇 번이나 티슈를 꺼내 눈물을 닦았다. 친일하는 아버지를 둔 부잣집 도련님이 그냥 편하게 살지 않고 우리말을 지키고 남기려고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조마조마하고 애타도록 했다. 뜻을 같이한 이들 중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일본에 정보를 넘기며 동지를 배반하는 사람도 있고 안타까운 죽음도 있다.
우리말 사전을 만들기 위해 팔도 각 사투리를 쓰는 뜻있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면은 감동스러웠다. 가슴이 벅차오르면서 울컥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일제의 핍박 속에서도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우리말 사전이 탄생한 것이다.
우리는 이 영화가 대박나면 좋겠다고 이야기했는데 같이 영화를 본 수녀님도 이 영화는 중고등 학생에게 꼭 보여줘야 할 영화라고 말씀하셨다. 정말 어린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역사 이야기라는 생각에 공감했다. 우리가 학창 시절 때 중간고사나 기말고사가 끝나면 전교생이 단체로 대한극장이나 중앙극장으로 명화를 보러 가곤 했다. 그때처럼 학교에서 단체관람을 하게 하면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고 애쓴 역사도 알 수 있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도 갖게 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