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이래서 아침이 좋습니다

기사입력 2019-03-29 10:09

[커버스토리] PART 01 아침을 사색하다

저는 아침이 좋습니다. 그래서 늦잠을 자지 못합니다. 아예 밤의 끝자락에서 깨어 눈을 바짝 뜨고 새벽을, 아침을, 기다립니다. 때로 밤을 새우기도 하고 잠자리에 드는 시각이 들쑥날쑥하긴 하지만 대체로 남보다 더 많이 자는 셈인데 일어나는 시각은 늘 새벽 4시쯤입니다.


이러한 저를 보고 기가 차서 말을 못하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없지 않습니다. 아니, 꽤 많습니다. 가까이에는 제 아내가 그러하고, 멀리에는 이제 ‘남’이 되어 자기네 식구 거느리고 사는 자식들이 그러합니다. 자식들은 제 그러한 모습을 ‘문화사적’으로 단정합니다. 농경시대의 마지막을 사시던 분이니 산업사회 이후의 ‘밤이 있는 문화’를 제대로 짐작하실 까닭이 있느냐는 것이 저에 대한 자기네 이해의 변(辯)입니다. 아내의 반응은 이보다 훨씬 ‘실존적’입니다. 자정이 지나면서 비로소 마음도 몸도 차분해지면서 바야흐로 삶이 삶다워진다는 그녀의 삶의 리듬에서 보면 저는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기를 지나 그지없는 연민의 대상이 됩니다. 그래서 저는 어린아이처럼 어둠을 무서워하고, 그윽함을 낯설어하며, 깊은 고요를 견디지 못하고, 어둠을 밝히는 찬란한 빛을 눈부셔하는 모자란 사람이 됩니다. 나아가 소음이 침묵하면서 겨우 들리는 바늘귀 꿰는 소리조차 듣지 못하고, 어둠의 아련하고 아득한 정경에서 비로소 이룰 수 있는 뮤즈[詩神]와의 만남을 스스로 차단해버린 딱한 사람, 그래서 연민조차 넘어 이제는 어찌 해볼 수 없는 사람이 되고 맙니다.


아침을 좋아하는 저에게 가해지는 양쪽 모두의 묘사를 저는 조금도 부정하지 못합니다. 사실이 그렇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밤이 있는 문화’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폄훼할 생각은 조금도 없습니다. 저는 아내가 누리는, 제가 미처 다가가지 못한, 뿌듯한 행복을 아니라고 반박할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아침을 좋아하는 것은 문화가 결정한 것만도 아니고 사람됨이 그러해서 그런 것만도 아닙니다. 저는 저 스스로 내가 주인이 되어 내 삶을 꾸려 나아간다는 자의식을 지니고 아침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아침이면 저는 무엇보다 세상이 밝아지는 과정이 그리 좋을 수가 없습니다. 동트는 무렵이면 해를 등지고 서쪽을 바라봅니다. 그러면 서서히 어둠이 걷히는 것이 보입니다. 사물이 자기의 모습을 드러냅니다. 저는 어두워 더듬거리던 혼란스러움에서 벗어나면서 어떤 질서의 정연함을 확인합니다. 사물에 대한 앎이 다듬어지고, 그것들이 서로 맺고 있는 관계도 뚜렷해집니다. 당연히 그러한 것들과의 만남에서 제 판단도 어둠에서와는 달리 밝음에서 차분하게 이루어질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세상이 차츰차츰 밝아지면서 마침내 저는 온누리를 한꺼번에 안습니다. 제가 경험하는 새벽은 그러합니다. 새벽은 저로 하여금 세상을 품에 안게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품은 세상은 어제의 세상이 아닙니다. 비록 어제저녁 어둠에 잠기는 것을 보면서 제가 스스로 잠들며 닫아버린 세상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사라졌거나 달라졌을 까닭은 없습니다. 그러나 아침은 어제를 ‘잇는’ 마디가 아닙니다. 어제를 ‘지운’ 마디입니다. 그래서 아침입니다. 아침은 저에게 “내가 보여주는 세상은 어제의 세상이 아냐! 그러니 너는 지금 이 아침에 어제가 없었듯 그렇게 네 하루를 시작해야 해! 그것이 내가 너에게 주는 아침의 선물이야!” 하고 말합니다. 저는 그 선언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아침마다 듣습니다. 아침에는 세상을 그렇게 만나야 하는 거라고 저는 스스로 다짐합니다. 그래서 아침이면 저는 언제나 ‘미지의 세상’과 만납니다. 그 세상은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흰 그림책 같습니다. 어떤 것으로도 채울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입니다. 그것을 내가 커다랗게 품는 때가 아침입니다. 가슴이 설레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는 이래서 아침이 좋습니다. 서둘러 아침을 맞으려 일찍 일어납니다. 결국 아침은 새로운 탄생이니까요.

하지만 저녁이 없으면 아침은 없습니다. 미지의 가능성을 채우면서 이렇게 저렇게 뛰며 사느라 조금은 피곤해 쉬고 싶은 하루가 저녁의 붉은 노을에 서서히 잠길 때면 그 노을이 아침의 신비와 겹치는 것을 바라보면서 스스로 나 자신을 토닥거리며 ‘잘 지냈다. 하루 종일. 이제 푹 쉬거라!’ 하고 잠자리에 들지 않는다면 아침은 오지 않습니다. 불면의 밤은 밤만을 상처내지 않습니다. 그것은 아침도 산산이 조각나게 합니다.

그러고 보면 해가 뜨는 아침만이 아침인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찍 일어나는 것만이 아침을 좋아하는 모습도 아니고, 저녁을 지새우는 것만이 밤을 좋아하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하루하루 맞는 새날을 내 삶이 새롭게 펼쳐지는 뚝 떨어진 천복(天福)으로 여기는 감격, 그리고 그에서 솟는 고마움을 하루의 삶 속에서 어떻게 해서라도 잘 펼쳐 내가 사는 세상이 조금이라도 낮을 낮답게 밤을 밤답게 누리며 살 수만 있게 된다면 아침이든 저녁이든, 일찍 자든 늦게 자든, 일찍 일어나든 늦게 일어나든 무슨 상관이 있을는지요. 아침의 좋고 그름, 저녁의 좋고 그름을 이야기할 까닭이 있을는지요.


그런데 문득 아침을 맞지 못할 밤도 있을 겁니다. 그렇게 저녁을 맞지 못할 낮도 있을 겁니다. “아직은~” 그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겠죠. 저도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아침이 펼쳐주는 미지의 가능성 속에는 그 사실조차 담겨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나잇값을 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저리게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오지 않을 아침 때문에라도 저는 한껏 오늘 아침을 겸손하게 그리고 황홀하게 맞고 싶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