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영화 ‘기생충’이 환기한 ‘냄새’의 사회학

기사입력 2019-07-09 15:43

▲영화 '기생충' 스틸 이미지(CJ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기생충' 스틸 이미지(CJ엔터테인먼트 제공)

'기생충'이란 영화를 보며 ‘냄새’에 관해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됐다.

영화는 빈부격차라는 다소 진부한 소재를 다양한 은유와 상징으로 보여주며 그 갈등과 파국을 묘사한다. 초반부터 가난이 유발하는 특유의 냄새를 복선으로 보여주고는 있지만, 이로 인해 벌어지는 충격적 결말을 보며 햇빛 때문에 사람을 죽인 카뮈의 ‘이방인’이 연상되기도 했다.

프로 야구 선수로 큰 성공을 거둔 박찬호가 방송에서 말한 바에 따르면 미국에 건너가 초기에 조롱 당한 것은 바로 몸에 밴 김치 냄새와 마늘 냄새 때문이었다. 분한 마음에 그날로 김치를 끊고 미친 듯이 치즈를 먹기 시작했단다. 미국 이민자들에게서 이와 비슷한 얘기는 수도 없이 나온다. 다른 말로 하면 외국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은 바로 김치 냄새, 마늘 냄새라고도 볼 수 있겠다.

어쩌면 냄새로 대표되는 후각이야말로 시각이나 청각보다 대상의 본질을 정확하게 드러내는 감각일지 모른다. 차려놓은 음식이 보기에 아무리 화려해도 거기서 풍기는 상한 냄새는 그 음식들이 먹을 수 없는 쓰레기임을 확인해준다. 차림새가 반질해도 그에게서 풍기는 미세한 곰팡이 냄새는 반지하 방에서 사는 감추고 싶은 가난의 증거이며 결코 드러나선 안 될 내면의 열등감을 자극한다.

냄새는 문명과 야만을 구별하기도 한다. 인간의 문명은 온갖 냄새로 가득한 야만에서 벗어나는 과정이었는지 모른다. 어린 시절 우리의 산천은 인분 냄새로 가득했다. 그 시절 가난했던 대한민국의 정체성일 것이다. 못 사는 나라의 공항에 내릴 때 매캐하게 코를 자극하는 매연 냄새는 그 나라 현재의 정체성이다. 노인들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가장 신경 쓰는 일은 자신에게서 냄새가 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기도 하다.

자신의 불쾌한 냄새 콤플렉스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 문명화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어떤 냄새는 강화함으로써 정체성을 지킨다. 유럽의 치즈는 냄새가 고약할수록 대우 받는다. 우리나라의 청국장, 중국의 취두부, 북유럽의 정어리 통조림 같은 것들은 오히려 특유의 문화로 대접받는다. 이처럼 냄새는 어떤 쪽이건 인간의 정체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냄새는 감추기 어려운 속성 때문에 콤플렉스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다른 냄새로 감추기도 한다. 태국 수상시장을 관광할 때 가이드가 목에 걸어주던 꽃으로 만든 목걸이는 환영한다는 뜻과 함께 강물의 악취를 차단하는 용도였음을 나중에 알았다. 유럽의 향수는 길거리 악취와 가죽 제품에서 나는 냄새를 중화하기 위해 발달한 것이다.

동물들이 냄새로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듯이 오늘날 우리 사회도 진영 간에 용납할 수 없는 전선이 놓여 있다. 서로 다른 냄새를 감싸주는 향수같이 따뜻한 인간적 향기가 어쩌면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아닐까 싶다. 이제부터 견딜 수만 있으면 상대방에서 나는 냄새는 언급하지 않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