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북한 조선노동당 노동청사 견학

기사입력 2019-05-29 10:01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북한 조선노동당 당사로 가는 길에 보이는 김일성 고지 옆. 피의 능선과 백마고지를 관망할 수 있었다.

피의 능선은 6·25 전쟁 당시 4만5,000명의 전사자를 냈는데, 이 전쟁에는 군인들만 있었던 게 아니라 노무대도 같이 있었기에 실제 전사자의 수는 이보다 훨씬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 많은 시신을 미쳐 거둘 수가 없어 그 시신에서 피가 흘러내려 빨갛게 산을 물들였다 하여 ‘피의 능선’이라고 불렸다 한다. 비가 오는 날에는 다시 또 시신에서 피가 흘러 온 산을 붉게 물들였다 하니 그날의 참상이 짐작된다.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

70여년 전, 동족상잔의 아픈 상처가 곳곳에 남아 있는 이곳을 돌아보며 이제 더 이상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최근에 국군은 화살머리 고지에서 군사분계선까지 12m 폭으로 17㎞의 길을 만들었다. 이 길을 만드는 과정에서 많은 전사자의 유해와 유품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노동당사에 도착했다. 노동당사는 해방 이후 한국전쟁까지 북한이 중앙당으로부터 지령 되는 극비사업을 주도한 곳이다. 이 곳에서 철원, 김화, 평강, 연천, 포천지역 주민들의 동향 사찰은 물론 대남공작을 주도한 공산 치하에서 중부지역의 주요 업무를 관장했다고 한다. 반공 인사들을 구금, 고문, 학살했던 악명 높은 곳으로 고문 흔적을 보여주는 인골, 실탄, 낫, 철사 등도 발견되고 있다.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사진 = 김종억 동년기자)

노동당사는 1946년 초 이곳이 아직 북한 땅이었을 당시 철원군 조선노동당에서 시공하여 그해 말 완공한 러시아식 건물이다. 무철근 콘크리트 건물인데, 3층 건물이던 것이 폭격으로 외벽과 뼈대만 남아있다. 노동당사가 사용된 기간은 ‘해방 후 ~ 한국전쟁’까지다. 유엔군의 집중 폭격을 받았음에도 건물이 완전히 훼손되지 않은 이유는 철근을 넣지 않고 두꺼운 벽돌을 쌓아 지은 공법 때문이라고 했다. 포탄이 외벽에 충격을 주어도 구멍만 뚫렸을 뿐 건물 전체가 헐리지는 않았다.

노동당사 견학을 통해 다시 한번 안보의식을 철저하게 다질 수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