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소록도 가는 길

기사입력 2019-05-24 15:02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
보리피리 불며 / 봄 언덕 / 고향 그리워 /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꽃 청산 / 어릴 때 그리워 /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인환의 거리 / 인간사 그리워 /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방랑의 기산하(幾山河) / 눈물의 언덕을 / 피ㄹ 닐니리.

한하운 시인의 애달픈 시 ‘보리피리’다. 소록도를 다녀오고 나서 비로소 그 고독과 고통을 백분의 일도 이해하지 못한 채 시를 읊었던 것이 부끄러워졌다. 나병으로 한 맺힌 일생을 살아간 분들의 절망을 비로소 마음속 절절히 느끼고 돌아왔다.

전남 고흥에서 소록도 가는 바다는 평화롭기만 하다. 해안 울창한 솔 숲 옆으로 도로가 길게 나 있다. 이곳에서 한 달에 한 번뿐인 한센인들의 면회가 먼발치로 떨어진 채 이루어진다. 행여 바람결에 병이 옮겨질까 봐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서 있는 장소가 바뀌었다고 한다. 부모형제여도 손잡아 볼 수도 없고 서로의 숨결 한번 느껴보지 못하던 아픔이 서린 곳이다. 그래서 애환 어린 탄식의 장소란 뜻으로 수탄장(愁嘆場)이다.

일생을 소외와 고통 속에서 살았지만 그들에게는 무엇보다도 사람들의 편견이 가장 큰 아픔이었다. 병원 치료도 못 받고 부모형제에게까지 버림을 받아 간 곳이 소록도다. 103년 전부터였다. 한때는 6000여 명 정도 수용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500여 명의 환우들이 남아있다.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그 세월 소록도 병원의 나무는 자라서 울창해졌다.

그분들의 아픔과 슬픔을 기억하고 있을 건물들은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검문소를 지나 수술대와 검시대, 세척실, 감금실, 시체 해부실, 형무소를 돌아보며 처절했을 그 시간들을 짐작해 본다.

밖으로 나오면 6000여 평의 공원이 잘 가꾸어져 있다. 일제 강점기에 환자들의 강제노역으로 조성된 곳이다. 환자들의 피와 땀과 눈물과 한으로 만들어진 공원의 풀 한 포기 돌멩이 하나 허투루 볼 수가 없다. 편백나무, 소나무, 향나무, 철쭉과 종려나무, 장미터널 등 각종 꽃과 나무, 그리고 잘 가꾸어진 푸른 잔디 위에 그들의 아픔을 표현한 시화가 줄지어 서있다.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공원 중앙에 하얀 탑이 하늘 높이 눈부시다.

성 미카엘 대천사가 악마인 한센병을 발로 밟고 박멸하듯 창으로 찌르는 형상이다. 그 아래엔 '한센병은 낫는다'라는 문구가 있다. 옆면으로는 1963년 당시 근로봉사단이었던 국제워크캠프 남녀 대학생 133명의 대학생 이름이 적혀 있다. 이것이 소록도의 랜드마크 구라탑(救癩塔)이다. 말 그대로 나병에서 구함을 얻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또 하나의 탑이 있다.

1962년 소록도의 나환자를 돌보러 오스트리아에서 멀고 먼 이 땅으로 온 마리안과 마가렛 두 수녀님의 공적비다. 40년이 넘도록 맹목적인 헌신으로 수많은 환자들의 손과 발이 되어 살았던 분이다. 연로하고 건강이 좋지 않아 소록도에 부담이 될까 봐 편지 한 장 남기고 40년 전에 들고 왔던 가방 하나 달랑 들고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고향으로 떠났다고 한다. 현재 두 수녀님의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을 위한 활동이 펼쳐지고 있는 중이다.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사진= 이현숙 동년기자)

이제 소록도는 조용하고 아름다운 섬이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가 지켜주고 덮어주지 못한 세월을 산 분들에게 가졌던 편견의 벽이 부끄럽다. 그들이 소록도에 갇혀 산 시간에 편안히 살아서 미안하다.

전남 고흥의 끝자락인 녹동항 앞바다에 있는 아기 사슴의 머리 모양을 닮은 작은 섬 소록도(小鹿島), 지금은 그 섬의 생명력을 닮은 푸르른 등나무가 붉은 벽돌담을 가득 덮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