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앉아서 소변보는 남자들

기사입력 2019-02-22 14:44

얼마 전 친척 병문안을 갔다가 병원 내 비뇨기과 앞에서 진료 순서를 기다리는 지인을 만났다. 지인에게 왜 왔는지 물으니 소변이 잘 안 나와서 혹시 전립선에 무슨 문제가 있나 해서 왔다는 것이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지인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가 들려 대화를 멈추게 되었는데 지인에게 간호사가 “서서 소변보세요? 앉아서 보세요?” 하고 물어보았다. 그 질문에 지인은 서서 볼 때도 있고 앉아서 볼 때도 있다고 대답했다. 그들의 대화가 필자에게는 적잖은 충격이었는데 정작 그들은 그다지 신경 쓰는 기색 없이 자연스러웠다.

필자가 문병을 마치고 지인을 다시 만나 어떤 상태냐고 물으니 의사 말이 전립선이 조금 커져 있지만 아직 큰 문제는 아니라고 했다면서 알아두면 좋을 거라고 의사가 해준 말을 몇 가지 전해줬다.

전립선비대증은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한다. 60대에는 60~70% 정도, 70세가 되면 거의 모든 남성들이 경험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라 노화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는 것이다. 또 발생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전립선이 커질 경우 요도를 막게 되어 소변을 보기가 힘들어진다고 한다. 정도에 따라 소변 줄기가 가늘고 힘이 없어지거나, 중간에 소변 줄기가 끊어지기도 하고, 소변을 보고 나서 시원찮은 느낌도 든단다. 소변이 나올 때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힘을 줘서 눠야 하고 자주 요의가 생기고 한밤중에 갑자기 소변이 마려워 잠을 자다가도 일어나서 화장실을 가야 하는 증상들도 생긴다고 한다.

전립선비대증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지연시킬 수 있는 길은 있다고 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위험요인인 비만을 조심해야 하는데 고지방,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음식을 멀리하면서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면 도움이 된단다. 또한 지나친 음주는 소변의 양을 늘리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고 자극적인 차나 커피도 되도록이면 피하라고 한다. 그리고 잠자기 전에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야뇨증이 생기므로 저녁 7시 이후에는 수분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왜 앉아서 소변을 보냐는 필자의 물음에 지인은 소변이 한참 안 나오면 오래 서 있는 게 힘들어서 나올 때까지 앉아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말했다. 남자가 앉아서 소변을 보는 이유 중에 전립선비대증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지인을 통해 알게 됐다. 앉아서 소변본다는 말에 은연중 남자의 자존심, 나약함 등을 떠올렸는데 꼭 그런 것만도 아니고 남 일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엄습해왔다.

인터넷에서 ‘앉아서 소변보는 남자’를 검색하면 블로그와 카페는 물론 뉴스, 방송 등에서도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앉소남’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대부분은 위생·청결을 위해 아내들이 앉아서 소변보기를 요구하기도 한다. 일본 남자들은 30% 이상, 유럽의 남자들은 60% 정도가 앉아서 소변을 본다는 수치까지 제시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남자들이 전립선 등 건강상의 이유로 앉아서 소변을 본다는 이야기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아마 자존심 때문에 드러내놓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극히 일부가, 남자는 신체구조상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것보다 서서 보는 게 건강에 좋다고 주장하는 글도 있기는 하다.

우리나라도 고령 인구가 점점 늘어나는 만큼 전립선비대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 그리고 가정 내에서 여자들의 목소리가 이미 남자들을 압도하고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는 몸이 불편해서든 화장실 청결을 위해서든 본의 아니게 앉아서 소변보는 남자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