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지식의 저주

기사입력 2019-02-14 09:26

모 단체에서 ‘글쓰기 강연’ 요청을 해왔다. 시간과 장소만 알려주고 그 뒤로 연락이 없어, 강연 자료를 보내려 하니 이메일 주소를 알려 달라고 했다. 그랬더니 그냥 USB에 담아 오라는 것이었다. USB는 오래전에는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한번은 USB만 믿고 강연에 나섰다가 강의실 컴퓨터에 연결이 안 되어 낭패를 본 일이 있다. 사정을 설명하고 이메일로 강의 PPT를 보냈다. 그러나 파일이 열리지 않는다며 다시 USB에 담아 오라고 했다. 다른 강사들은 다들 USB에 담아 오는데 왜 나만 안 되느냐는 투였다.

강연 요청자는 자기 위주로 USB를 생각한 것이다. 나는 USB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니 미리 그 여부를 확인하고 싶었다. 그리고 ‘지식의 저주’라는 말이 떠올랐다. 강연 요청자는 내가 강연을 자주 하니 당연히 USB를 활용할 것이라고 생각했겠지만 나는 USB가 말썽을 일으킨 후로는 이메일로 미리 강연 자료를 보내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지식의 저주’란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상대방도 당연히 알고 있을 것이라 믿는 착각을 말한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던 엘리자베스 뉴턴은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두드리는 자와 듣는 자(Tapper and Listener)'란 실험을 했다. 생일 축하 노래 등 잘 열려진 노래 120곡을 탁자를 두드리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듣는 사람이 무슨 곡인지 알아내는 실험이었다. 탁자를 두드리는 사람은 듣는 사람이 50%는 맞힐 것으로 예상했지만, 2.5%만 맞히는 결과가 나왔다. 두드리는 사람과 듣는 사람과의 소통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설명하는 실험이었다.

초등학생을 가르칠 때 대학생이 잘 설명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중학생이 가르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초등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를 경험한 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초등학생 입장에서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은 오히려 고등학생 때 배웠던 지식이나 방식으로 가르치려 해 어려운 설명이 될 수 있다.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가 많지 않은 노년기에 접어들고 나니 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종종 실감한다. 서로 못 알아들으며 짜증도 자주 낸다. 예를 들면 모임 장소를 알려줄 때 지도만 보내면 알아서 잘 찾아올 것이라 생각한다. 전철 몇 번 출구에서 나와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 그 장소가 보인다는 식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자기 위치에서 설명을 하는 바람에 반대편으로 가는 사람도 많다.

글을 쓸 때도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이런 실수를 자주 한다. 당연히 상대방도 다 아는 용어일 줄 알고 쓰지만, 정작 읽는 사람은 용어에 막혀 내용 파악이 제대로 안 되는 것이다. 나도 댄스 칼럼을 연재할 때 '샤셰(Chasse)'라는 춤 동작을 자주 설명했다. 발을 붙였다 떼는 동작을 가리키는 그 용어를 이미 여러 번 설명했기 때문에 당연히 독자들이 알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았다. 모든 독자들이 내가 그 용어를 설명한 글을 다 읽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후부터는 글을 쓸 때마다 ‘샤세’라는 용어를 설명하는 대신 ‘발을 붙였다 떼는 동작 샤세’라고 고쳐 쓰기 시작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