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농촌은 야생동물과 한바탕 전쟁 중

기사입력 2018-07-03 11:07

▲농경지에 야생동물의 출입을 막기위해 설치한 그물망. 이제는 농촌의 일상적인 모습이 됐다.(조왕래 동년기자)
▲농경지에 야생동물의 출입을 막기위해 설치한 그물망. 이제는 농촌의 일상적인 모습이 됐다.(조왕래 동년기자)

전쟁은 궁극적으로 목숨을 빼앗는 게임이다. 이런 섬뜩한 전쟁이 농촌에서 매일 일어나고 있다.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기한 없는 농부와 야생동물과의 서로 살기 위한 생존의 경쟁이다. 예전의 평화스러운 농촌의 모습은 점점 사라져가고 들판 곳곳에서 야생동물을 쫓아내는 공포탄 소리가 진동한다. 예전의 농촌에는 새들을 쫓으려고 허수아비나 반짝이는 은박지 정도만 나풀거렸는데 이제는 고라니 때의 출입을 막으려고 그물로 벽을 쌓고, 전기울타리까지 사용한다.

왜 이렇게 과거와 달리 야생동물의 출연이 잦고 많아진 것일까? 아마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먼저 사람이 먹이사슬이라는 것과 약육강식이라는 자연 생존의 법칙을 헝클어 버렸다. 산돼지 300마리면 호랑이 한 마리가 있어야 하는데 인간이 호랑이를 제거했다. 독수리 매 부엉이 같은 야생조류의 천적이 사람의 손에 의거 멸종에 가깝도록 사라져가고 있다. 둘째로 동물보호라는 이름으로 산짐승 사냥이 엄격하게 통제를 받는다. 예전에 엽총을 갖고 사냥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고 사냥이 스포츠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총이 가까이 있으니 크고 작은 사건들이 발생했다. 총기 소지가 허가제로 되고 총은 경찰서에 보관해야 하는 등 관리가 엄격해졌다. 자연스럽게 사냥이라는 취미를 갖고 있던 사람이 줄어들었다. 셋째로는 동물보호에 대한 인식 변화다. 야생동물을 함부로 잡지 못하도록 감시의 눈초리가 많아졌다. 넷째로 산림녹화덕분으로 울창한 숲을 가지면서 야생동물이 숨기 좋고 살아가기 좋아지니 개체수가 늘어났다. 다섯째로 야생동물의 먹이인 도토리 같은 열매를 사람들이 빼앗아버리니 야생동물 입장에서는 먹이를 찾아 민가로 내려올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유해조수를 차단하기 위한 전기울타리도 등장했다.(조왕래 동년기자)
▲최근에는 유해조수를 차단하기 위한 전기울타리도 등장했다.(조왕래 동년기자)

도시사람들은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기위해 수확량이 좀 줄면 어떠냐고 뭘 모르는 소리를 한다. 야생동물의 피해가 수확량이 줄어드는 정도를 넘어 아예 황폐화하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농사란 제철이 있는데 올라오는 새싹을 새들이 쪼아 먹으면 다시 씨앗을 심어도 제철을 놓쳐버려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논에도 활착되지 않은 어린 모에 황새 같은 큰 새가 모를 밟아버리면 모가 들떠서 죽어버린다. 참외나 수박은 순이 뻗어가며 열매를 맺어야 하는데 고라니나 멧돼지들이 밭을 짓밟아버리면 어린 순들이 다 망가져 버리고 더 열매를 맺지 못한다. 고구마 감자처럼 땅속 식물도 멧돼지들이 땅을 들쑤셔버리면 농작물이 말라 죽는다. 농사를 짓는 농부는 농사가 생존수단이다. 고생하며 짓는 농작물의 보호를 위해서 야생동물을 자신의 논과 밭에서 쫓아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쟁은 싸우는 병사들에게 맡겨 놓고 국민들이 어느 쪽이 이기느냐고 평화롭게 관전할 수는 없다. 후방의 사람들도 군수물자를 지원해야 하고 부상병을 후방으로 이송하여 치료하는 등 온 나라가 전쟁에 매달려야 한다. 외교적으로도 하루바삐 전쟁이 종식되도록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는 등 부산하게 움직인다. 전쟁 기간은 짧아야 피해를 줄일 수가 있다.

농촌에서 시도 때도 없이 일어나고 있는 농부와 야생동물의 생존전쟁이 그들만의 문제로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할 때가 아니다. 개체 수가 늘어난 야생동물이 먹이를 찾아 서울의 도심까지 출연했다는 방송에도 흥미롭게 웃어넘길 일이 아니다. 야생동물과 사람이 공존하며 평화롭게 각자 자기 나라에서 잘 살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정부나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