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카드뉴스] 시니어 매거진 취재다반사

기사입력 2024-04-12 08:38







오고 오는 칭찬

많은 직장인이 그러하듯 에디터가 업무 도중 칭찬받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 취재원과는 일로 만나 일을 하고 쿨하게 헤어진다. 시니어 매거진에서는 다르다. 첫 만남부터 칭찬이 오간다. 칭찬받는 쪽은 거의 에디터다. 시작은 대개 이런 식이다. “나이 있는 사람이 오는 줄 알았더니… 이렇게 젊은 분이!”

칭찬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더 후해지는 경향이 있다. 자칭 ‘초고령자 전문 인터뷰이’ 문혜진 기자는 자존감을 충전해 올 정도다. “어르신이 그래요. ‘키도 크고 얼굴도 귀엽네.

몇 살? 아이고, 애기다. 애기!’라고요. 뭐랄까, 되게 귀하게 대해주는 느낌?”

일이 끝난 뒤엔 감사 인사도 받는다. “이런 기회 아니었으면 나 같은 늙은이가 젊은 사람하고 언제 또 이야기해 보겠어요.” 칭찬에 민망해하다가 뒤돌아 콧잔등이 시큰한 것이 우리에겐 예삿일이다.


간단한 심층 인터뷰

에디터는 취재원 눈치채지 못하게 슬쩍슬쩍 시간을 체크하는 버릇이 있다. 섭외 당시 약속한 시간에 맞춰 취재를 마감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시니어 매거진에선 넘기기 일쑤다. 어르신 말씀 끊기 어려워서 30분, 질문 잊어버리셔서 30분, 인생 조언 듣다가 30분… 그렇게 삼천포로 빠진 인터뷰 방향을 되돌려 마감하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있다. 부담될까 “간단히 이야기 좀 들으려고요” 하고 갔다가 깊고 길게 이야기하는 게 일상이다.


자주 간식, 가끔 식사

대개 인터뷰는 목을 축이면서 이뤄진다. 커피나 차. 그것도 아니면 생수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시니어 매거진에선 간식이 추가된다. “출출하겠다”면서 하나둘 내오는 먹거리를 완곡히 거절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어느 순간 아기 새 마냥 받아먹는 모양새가 된다. 우리는 이런 걸 먹었다. 깨찰빵, 수박, 고구마(까주심), 귤(까주심), 장어(구워주심) 등등등. 그 결과 취재팀은 입사 초기보다 조금씩 확대됐다.


뜻‘밭’의 선물

‘김영란법(청탁금지법)’은 현장에서 잘 지켜지고 있다.

시니어 매거진에서도 마찬가지다. 뭐라도 주고 싶어 하시는 분이 없진 않지만 마음만 받겠다고 하고선 얼른 내뺀다.이따금 그 마음은 택배 상자에 담겨 편집국에 도착한다. 직접 밭에서 키웠다는 상추, 쑥갓 등 농산물이다. 그런 날엔 값을 매길 수 없는 어르신의 사랑을 한 줌씩 들고 퇴근한다.

시니어 매거진에서는 다반사지만 확실히 흔한 일은 아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