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한문연, 2022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성과 평가

기사입력 2022-12-23 17:35

“지속가능한 생활사 기록”… 지역 문화원 통해 정체성 찾아

▲한국문화원연합회의 2022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라운드 테이블 모습.(이희원 기자)
▲한국문화원연합회의 2022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라운드 테이블 모습.(이희원 기자)
곧 사라질 마을의 주민들이 거주 지역에 대한 기록을 스스로 남긴다면, 이는 어떤 방향으로 진행돼야 할까? 채록된 기록들은 어디에 모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한국문화원연합회(이하 한문연)가 올 한해 사업의 지역별 성과 공유와 함께 지역 아카이빙 사업의 방향과 인력양성, 수집 정책, 활용방안 등 연관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23일 마련했다. 한국문화원연합회 유튜브 채널로 온라인 생중계된 이날 행사에는 구술채록 및 아카이브 관련 전문가 7명이 함께했다.

문화원연합회는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을 올해부터 시행했다. 서울 성북문화원, 인천 서구문화원, 대전 대덕문화원, 경기 김포문화원, 충남 태안문화원에서 <선주, 이주, 주민>이라는 주제로 지역민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이번 사업에서는 지역 시민이 기록가로 나서 같은 지역 주민을 직접 만났다. ‘지역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이야기를 기록하게 하는 것’을 취지로 교육을 받은 주민들이 현장에 나가서 구술할 주민을 구해 그 기록을 채록했다. 일련의 과정은 영상으로 제작됐으며, 한문연은 이번에 얻은 메타 데이터를 정리해 국립중앙도서관 쪽에 제출할 예정이다. 해당 자료는 한문연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역N문화 포털에도 게재할 예정이다.

행사는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시작으로 세 가지 주제에 대한 발제, 이후 패널들과 자유로운 방식으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발제자로는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원종관 서울기록원 보존서비스과 과장, 국기기록원 기록정책부 기록협력과 소속 이정연 학예연구사가 나섰다. 패널로는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이호신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교수, 정보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차장, 이동준 이천문화원 사무국장이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업의 강점으로는 ‘면담자와 구술자가 모두 지역 주민이라는 점’을 꼽았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정연 학예연구사는 “지역 아카이빙은 주민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역사 서술로, 지역민들은 스스로 가치없다 여겼던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며 거주하던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지역민들 사이 연대를 이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 의미있다”고 말했다.

또한 수집한 기록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기록을 수집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주민은 성취감을 느끼게 하고 다른 지역의 주민들로 하여금 기록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책을 출판하거나 전시를 여는 등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업 기획자 측이 꼼꼼히 신경써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오갔다.

이어 전문가들은 지역 기록가와 공공기관의 역할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나눴다. 이호신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교수는 “‘지역주민들이 갖고 있는 자발성을, 어덯게 지원할 수 있을까’ 라는 관점에서 자발성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문화기관의 역할일 것” 이라고 발언했다. 또한 원종관 서울기록원 보존서비스과 과장은 3년 간 이와 비슷한 사업을 시행해온 파주 중앙도서관의 사례를 들며 “문화 행정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인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를 잘 이행하며 주민들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주민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기록 수집에 나서게끔 한 성공적인 사례”라고 평했다.

마지막으로 올해 사업 결과를 통해 개선돼야 할 점에 대해, 정혜경 대표는 “모인 기록들이 전시나 책으로 출판되는 등 활용이 적극적으로 돼야, 호응도가 높아지고 사업의 본연의 의미도 제대로 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예산안은 수집에 주로 집중돼있는데, 실제 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쪽으로 예산이 편성되고, 인력에 대한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