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골퍼 김용준 칼럼] 규격 갖춘 미공인구 사용이 최소 기준
그 마음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오죽하면 그러겠는가? 그런데도 말릴 수밖에. 필드에서 비공인구를 쓰는 것 말이다. 체통은 체통대로 떨어지고 실속마저 없는 경우가 많아서다.
비공인구를 쓰는 것이 골프 규칙에 어긋나서 말리냐고? 그런 점도 있다. 하지만 매사에 엄격한 잣대만 갖다 댈 정도로 인정 없지는 않다. 친선 경기를 할 때는 조금 관대하게 규칙을 적용하면 어떤가? 물론 부담스러운 내기를 할 때라면 더 엄격해야 하겠지만. 그렇다면 뭐가 문제여서 쓰지 말라고 하냐고? 이제부터 그 얘기를 하려고 한다.
골프공은 ‘규격’이 있다. 세계 골프 규칙을 주관하는 영국왕립골프협회(R&A)와 미국골프협회(USGA)가 정한 규격이다. 예전에는 두 단체가 정한 공인구 규격이 서로 달랐다. 조금씩 타협해가다가 1990년에야 비로소 규격을 통일했다.
두 협회가 정한 규격을 충족하기만 하면 모두 공인구냐고? 아니다. 규격을 충족하면 ‘규격을 충족하는 공’이다. 엥? 그럼 공인구는 뭐냐고? 공인구는 규격을 충족한다고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공이다.
골프공 업체가 새 공을 출시하면 알아서 R&A나 USGA가 조사해 공인구 인증 마크를 달아주냐고? 천만에, 그렇지 않다. 공을 두 단체에 ‘각각’ 보내 공인구 인증을 받아야 한다. 비용도 든다. 처음 인증받을 때만 비용이 드는 것이 아니다. 일정 기간마다 얼마씩 공인구 유지비를 낸다. 이게 상당한 부담이 된다. 두 단체로부터 각각 모델별로 공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같은 모델이라도 색상이 다르면 따로 인증을 받는다. 물론 테스트 비용과 공인구 유지 비용도 모델별로 또 색상별로 각각 두 단체에 내야 하고.
일이 이렇다 보니 중소 업체는 모든 모델을 공인구 인증받고 유지하기가 부담스럽다. 그래서 규격을 충족하는 공을 내놓고도 공인구 인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모델만 인증받고 말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런 공은 ‘미공인구’라고 부른다. 비공인구와는 구분 지어서 말이다. 공인구 규격은 충족하지만 아직 공인을 받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런 미공인구는 아마추어 대회(대한골프협회가 주관하는)에서는 사용을 허가한다. 골프 규칙에도 ‘공인구 규격을 충족하는 공’을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공인구 인증 마크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그런데 프로 골프 대회에서는 얘기가 다르다. 더 엄격하다. 공인구 규격을 충족하더라도 공인구 목록에 올라와 있지 않으면 쓸 수 없다. 쓰면? 바로 실격이다.
아이고 이런, 배경 설명이 너무 길었다. 웬만하면 비공인구는 쓰지 말자는 얘기를 한다고 하더니….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자.
공인구는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지켜야 한다. 굳이 설명하자면 크기는 42.67mm보다 커야 하고, 무게는 45.93g보다 가벼워야 한다. 작고 무거울수록 더 멀리 날아가기 때문에 제한을 둔 것이다. 다른 기준도 있지만 복잡하다. 크기와 무게 두 가지가 대표 기준이라고 알아두면 충분하다.
비공인구는 보통 공인 규격보다 크기를 1mm 정도 줄이거나 무게를 1g 정도 살짝 늘린다. 크기도 줄이고 무게도 늘리는 ‘대담한’ 업체도 있다. 규격을 지키지 않고서 ‘고반발구’라 더 멀리 날아간다고 홍보하기도 한다. 이런 공으로 큰 내기가 걸린 경기를 하면 손해 볼 수도 있다. 아니 이 말대로라면 실제로 이득이 있는 것 아니냐고? 항상 그렇다면 나도 말리지 않는다. 그런데 실속마저 없을 때도 있기 때문에 말리는 것이다.
무슨 얘기냐고? 비공인구 가운데 상당수가 품질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그래서 비공인구를 만들 때 의도한 것과는 반대로 오히려 비거리가 덜 나가는 경우가 생긴다. 그게 말이 되냐고? 된다. 연구개발과 품질 개선에 온 힘을 쏟는 업체가 비공인구를 내놓고 싶겠는가? 땀 흘려 출시한 볼이 ‘애물단지’ 취급을 받을 수도 있는데. 비공인구를 출시하는 업체 상당수는 연구개발보다 ‘꾀’를 내서 몇몇 골퍼의 사랑을 받으려 한다. 그렇다 보니 품질은 뒷전인 경우가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다. 골프공 속에 들어가는 코어는 주 재질이 고무다. 고무 재료를 금형(틀)에 넣고 충분한 시간을 성형해야 중심이 잘 잡힌 좋은 코어가 나오기 마련이다. 장인 정신이 부족한 업체라면? 코어를 날림으로 만들 공산이 크다. 그런 코어로 만든 공이라면? 크기가 작거나 무게가 무거워도 매끄럽게 비행하지 못한다. 당연히 비거리도 줄어들 테고. ‘맛 좀 봐라’라고 꺼내든 비밀병기 비공인구로 스타일만 구기는 경우가 생기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작정하고 비공인구를 생산하는 업체를 스포츠용품 업체로 보지 않는다. 스포츠는 규칙을 지키면서 결과를 얻어내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비공인구 업체는 뭐냐고? ‘완구 업체’로 볼 수밖에 없다. 물론 공인구 규격을 충족하는 볼을 내놓으면서도 여러 가지 이유로 공인구 인증을 받지 못하는 업체는 여전히 ‘스포츠용품 업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