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엄마의 행복한 웃음이 최고의 찬사, 창극 '춘향'

기사입력 2020-05-19 10:29

▲공연 당일 사진 찍기 싫어하는 엄마와 유일하게 찍은 귀한 사진.(정용자 시니어기자)
▲공연 당일 사진 찍기 싫어하는 엄마와 유일하게 찍은 귀한 사진.(정용자 시니어기자)

친정엄마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창극 ‘춘향’을 관람했다. 종일 비가 내린 날이었다. 집을 나서기 전 거동이 불편한 엄마를 떠올리며 괜한 일을 벌였나 잠시 생각했다. 엄마는 무릎 관절이 약해서 짧은 계단을 오르는 것도 힘겨워한다. 가까이 있는 계단을 두고 멀리 돌아가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 오는 비가 반가울 리 없다.

‘춘향’을 보러 온 사람은 생각보다 많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시행 중이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어선지 극장 입구에서 손 소독을 하고 발열 체크와 문진표 작성을 했다. 객석도 사이사이 띄어 앉기였다. 엄마와 나도 빈 좌석을 사이에 두고 앉았다.

창극 ‘춘향’은 국립극장 창설 70주년 기념공연으로 5월 14일부터 24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하는 국립창극단 초연작이다. 1962년 ‘춘향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며 ‘춘향가’와 인연을 맺어왔다. 국립창극단 유수정 예술감독은 "창극은 동시대의 의식과 감성에 맞춰 변화하되 뿌리인 판소리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춘향’의 극본과 연출은 서편제에 출연했던 배우 김명곤이 맡았다. 김명곤은 6시간 넘는 국립창극단 최초 완판 장막창극 ‘춘향전’ 공연 대본을 직접 썼다. 국립창극단의 신작을 이끌 만큼 판소리에 조예가 깊다고 한다. 국립극장 극장장과 제8대 문화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창극 '춘향' 포스터(국립극장 제공)
▲창극 '춘향' 포스터(국립극장 제공)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이로구나 내 사랑이야/ 이히 내 사랑이로다/ 아매도 내 사랑아”

엄마가 웃는다. 춘향과 이몽룡이 퐁당퐁당 주고받는 사랑가가 저리 재미있나? 마스크로도 가려지지 않는 엄마의 웃음소리. 그 행복이 내게로 온다.

평소 깊이 잠들어있을 시간이라 걱정했던 마음은 기우였다. 엄마는 막이 끝날 때마다 박수를 치며 즐거워했다. 아.. 참 잘했구나! 뿌듯하다. 여든셋 황혼의 엄마가 그네를 타는 춘향이라도 된 듯 수줍게 웃는다.

사실 나는 창극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춘향’을 보기 전까지는 그런 마음이었다. 창극이 뭔지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세상에는 그것 말고도 하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았다. 시간이 여유로운 것도 아니니 창극이건 ‘춘향’이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이번에 ‘춘향’을 보게 된 것도 순전히 친정엄마를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었다.

2년 전 갑자기 쓰러진 엄마는 이후 두 달 가까이 중환자실에서 생사를 넘나들었다. 그때 알았다. 엄마하고 해본 게 별로 없다는 것을. 엄마가 일어나기만 하면 많은 것을 함께 해야지 생각했다. 엄마와 하고 싶은 것들, 엄마가 좋아할 것들에 대해 생각했다. 국립창극단의 ‘춘향’도 그런 맥락이었다. 엄마가 좋아할 것 같았고 효도 한 번 더 한다는 생각이었다.

그런 생각으로 보게 된 ‘춘향’은 기대 이상이었다. 주연, 조연, 할 것 없이 한 사람 한 사람 온 힘을 다해 연기하는 모습을 보면서 창극이 이렇게 재미있는 거였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춘향의 지고지순하면서 당찬 모습도 나를 집중하게 만들었다. 이 한 작품을 특별하게 만드느라 얼마나 많은 사람이 땀을 흘렸을까? 마음이 잠시 숙연해졌다.

▲창극 '춘향' 프레스콜에서 춘향을 연기하는 배우 김우정의 모습(국립극장 제공)
▲창극 '춘향' 프레스콜에서 춘향을 연기하는 배우 김우정의 모습(국립극장 제공)

이소연과 더블 캐스팅된 춘향 김우정의 열연은 저러다 성대가 나가지나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였다. 엄마도 같은 생각을 했는지 집으로 돌아올 때 "목이 남아나지 않겠더라" 하고 말했다. 표정에 걱정이 그득하다. 자식이 여섯이나 돼서 그런가. 엄마는 평소에도 소소한 걱정이 많다.

“엄마, 다음에 창극 하면 또 오자. 그리고 영화도 보러 가자” 했더니 끝나기 무섭게 “알았어”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엄마도 이런 거 좋아하는구나.’ 그저 시시 때때 맛있는 밥이나 사드리면 되는 줄 알았다. 하긴 누가 챙기지 않으면 엄마 혼자 어찌 올까.

나는 창극에 대해 평을 할 만큼의 지식이 없다. ‘춘향’의 배우들이 잘하는 건지 못하는 건지 말할 입장이 못 된다. 하지만 분명히 아는 건 있다. 엄마가 행복해하는 것은 확실하다. 엄마와 내가 신나게 웃었으니 무조건 최고다.

춘향을 맡은 김우정도, 이몽룡을 맡은 김준수도,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는 동안에도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를 하는 배역이 아주 적은 사람들도 다 잘되면 좋겠다.

▲공연을 마치고 무대 인사를 하는 창극 '춘향'의 배우진.(정용자 시니어기자)
▲공연을 마치고 무대 인사를 하는 창극 '춘향'의 배우진.(정용자 시니어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