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예술가의 동반자, 압생트

기사입력 2019-03-27 09:13

[영화 속 술 이야기] 압생트와 영화 ‘물랑 루즈’

이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술을 뽑아야 한다면 ‘압생트(absinthe)’가 아닐까. 고흐가 마시고 귀를 자른 술, 마시면 환각 증세를 일으키는 술 등의 누명 속에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뻔한 압생트를 소개한다.

▲영화 '물랑 루즈' 포스터
▲영화 '물랑 루즈' 포스터

영화 ‘물랑 루즈’는 ‘로미오와 줄리엣’, ‘위대한 개츠비’ 등을 제작한 바즈 루어만(Baz Luhrmann) 감독의 2001년 작품으로 뮤지컬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 영화로 평가받는다. 19세기 말 프랑스의 환락가 물랭 루주를 배경으로, 시인인 크리스티앙이 뮤지컬 가수인 샤틴을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이 영화는 화려한 의상과 무대 등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데 그 속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소품이 있다. 바로 작은 잔에 든 초록색 술, 압생트다. 이 영롱한 에메랄드빛을 내는 압생트는 영화 곳곳에서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크리스티앙이 압생트를 마시자 눈앞에 ‘녹색 요정’이 나타나 춤을 추는 모습은 ‘녹색 요정’이라고도 불리는 압생트의 특징을 잘 표현해낸 장면이다. 이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에 붙어 있는 압생트 포스터와 압생트 이름을 내건 술집 간판은 압생트가 19세기 말 프랑스의 문화와 낭만을 상징하는 아이콘이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크리스티앙이 압생트를 가운데에 놓고 극단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크리스티앙이 압생트를 가운데에 놓고 극단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수많은 예술가가 예찬한 술

실제로 19세기의 프랑스에선 압생트가 큰 인기를 끌었다. 흔하지 않은 초록빛 술이 사람들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당시 유럽의 포도나무를 강타했던 필록세라 해충 사태가 큰 몫을 했다. 이 재앙으로 와인의 종주국인 프랑스의 와인 산업이 휘청거렸고 이 틈을 타 값싼 압생트가 대량 생산되면서 프랑스의 주류 산업을 완전히 바꿔버렸다. 이러한 저렴한 압생트의 주 소비계층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파리로 몰려든 가난한 화가, 작가 등의 예술가들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빈센트 반 고흐, 아르튀르 랭보, 에드가 드가, 오스카 와일드 등이 있는데 이들은 그림과 글을 통해 압생트를 예찬하기도 했다.


▲‘압생트와 카페 테이블’, 빈센트 반 고흐, 1853.
▲‘압생트와 카페 테이블’, 빈센트 반 고흐, 1853.

“압생트를 마시면 튤립이 내 다리를 부드럽게 감싸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오스카 와일드


그러나 영원할 줄만 알았던 압생트의 시대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19세기 말 한 정신과 의사가 압생트를 만들 때 사용되는 쓴쑥(wormwood)에 환각과 발작을 일으키는 투우존(thujone)이란 성분이 들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한 차례 타격을 입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905년 스위스에서 발생한 한 살인사건은 ‘압생트는 사람을 미치게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 석연치 않은 점은 살인자였던 사람이 하루에도 수십 잔의 와인을 먹는 알코올 중독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원인을 그날 두 잔밖에 먹지 않은 압생트에서 찾았다는 점이다. 이후 압생트는 1906년 벨기에를 시작으로 1907년 스위스, 1909년 네덜란드, 1912년 미국, 1915년 프랑스 순으로 판매가 금지됐다.

▲스위스에서 생산되는 60도의 압생트(좌)와 프랑스에서 생산되는 68도의 압생트(우).(각 사 제공)
▲스위스에서 생산되는 60도의 압생트(좌)와 프랑스에서 생산되는 68도의 압생트(우).(각 사 제공)

억울한 누명 ‘악마의 술’

제물이 된 압생트가 누명을 벗기까지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렸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시작된 압생트에 대한 연구는 투우존이라는 성분이 신경에 영향을 주는 물질은 맞지만, 압생트에 포함된 투우존의 양은 아주 극소량이기 때문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물론 70kg의 성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앉은자리에서 압생트를 420ℓ 마시면 위험할 수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다시 말하면, 압생트 420ℓ를 마시고 환각 증세를 보일 확률보다 그전에 알코올 쇼크로 세상과 작별하게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의미다. 이러한 연구 덕분에 압생트는 비로소 누명을 벗고 2000년 이후부터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에서 다시 판매되기 시작했다. 이젠 우리나라 바에서도 쉽게 마실 수 있다. 비록 녹색 요정은 나타나지 않겠지만 19세기의 예술가로 빙의해 압생트의 매력에 취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노인은 욕구가 없단 편견이 문제 “건강한 성생활 하세요”
  • 일본판 “라면 먹고 갈래요?” 노년층 친구 찾는 방법은?
  • “나이 들어 아파도 거뜬하게” 중장년의 슬기로운 섹스 방법
  •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중년의 성생활, 터놓고 말합시다!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