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반달이 된 황진이의 얼레빗

기사입력 2019-02-18 09:17

대학 시절 한시(漢詩)에 매료된 적이 있다. 시를 짓기보다 읽고 감상하는 데 치중했다. 지리산 청학동 태생이라 서당을 보고 자란 영향 때문일 게다. 한시에는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 한자도 있어 옥편을 찾아 읽곤 했다. 뚜렷이 생각은 나지 않으나 ‘물 졸졸 흐른다’는 뜻의 한자를 비롯해 시구에 어울리는 여러 가지 의성어 글자가 있었다. 신기하게 여겨졌고 재미를 붙이는 계기가 됐다. 제법 많은 한시를 외웠으나 지금은 시의 내용만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다.

황진이의 ‘詠半月(영반월)’도 자주 암송했던 시다. 화담 서경덕을 사모하는 마음을 견우직녀의 이야기에 비유해 읊은 감성적 시다. 기다리던 화담이 오지 않는 외로운 밤이 깊어가고 그리움만 쌓인다. 황진이는 거문고를 뜯다가 창밖을 내다본다. 어스름 밤하늘에 한 조각의 반달이 눈에 들어온다. 명경 앞에서 다소곳이 앉아 임을 기다리는 처자의 머리를 곱게 단장해주던 얼레빗을 닮았다. 버선발로 달려나가 마중할 화담이 오지 않으니 몸단장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얼레빗도 더는 필요하지 않으니 하늘에 던지고 싶다. 황진이는 자신의 마음을 이렇게 읊조린다.

詠半月(영반월)

誰斷崑崙玉(수단곤륜옥) 누가 곤륜산의 옥을 쪼개어

裁成織女梳(재성직녀소) 직녀의 머리빗을 만들었나

牵牛一去後(견우일거후) 견우가 한 번 떠나간 후

愁擲碧空虛(수척벽공허) 수심에 젖어 머리빗 하늘에 던졌네

▲얼레빗(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제공)
▲얼레빗(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제공)

옥황상제의 딸이었던 베 짜는 직녀는 소를 모는 동네 총각 견우를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이 사랑에 빠져 맡은 일을 게을리하자 옥황상제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둘이 떨어져 살게 했다. 다만 1년에 단 한 번, 칠월 칠석 밤에 오작교에서 만날 수 있도록 허락했다. 오매불망 기다리던 견우를 만나고 돌아온 직녀는 1년 후 다시 만날 때까지 몸을 치장할 이유가 없어졌다. “지아비가 집에 없으면 몸단장을 화려하게 하지 않는다.” 직녀는 머리를 빗던 반월형 얼레빗을 허공에 던져버렸다. 그 얼레빗은 반달(半月)이 되었고, 황진이의 시 ‘영반월(詠半月)’ 시상이 되었다. 화담 서경덕을 사모하는 자신의 처지가 직녀와 비슷하다는 생각에 이르자 황진이는 자기가 쓰는 얼레빗을 반달에 비유해 자신의 속내를 한 편의 시에 절절하게 담아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노인은 욕구가 없단 편견이 문제 “건강한 성생활 하세요”
  • 일본판 “라면 먹고 갈래요?” 노년층 친구 찾는 방법은?
  • “나이 들어 아파도 거뜬하게” 중장년의 슬기로운 섹스 방법
  •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중년의 성생활, 터놓고 말합시다!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