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신중년 통기타 입문기' 우리에겐 우리만의 문화가 있다

기사입력 2018-07-27 19:39

드디어 비행기가 떴다. 높이 드높이!

“엄마, 기타 치는 모습 너무 귀여워.”

휴대폰으로 찾은 동영상을 보면서 기타를 이리도 잡아 보고 저리도 잡아 보는 나를 향해 딸이 웃으며 말했다. 그렇다고 내가 기타를 잘 치냐 하면 반대로 왕초보다. 이제 막 통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 시작은 늦었지만 어려서부터 늘 기타를 배우고 싶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그저 기타를 치는 모습, 가수들이 기타 치며 노래하는 모습이 멋지다고 생각했다. 사실 누구라도 따라 하고 싶은 폼나는 모습 아닌가?

악기상점이 모여 있는 종로의 낙원상가는 물론이거니와 지나다 우연히 기타가 세워져있는 상점이라도 발견하면 진열장 앞에서 넋을 놓고 바라보던 기억이 있다. 나뿐만 아니었다. 윤이 반짝반짝 나는 기타가 바로 보이는 진열장 앞에는 늘 나와 같은 아이들이 두 서넛은 기웃거렸다. 왜 하필 기타였을까? 살다 보면 이유 없이 끌림이 가는 것들이 있는데 기타도 그중 하나였을 것이다. 가질 수 없었던 것에 대한 아쉬움은 그것을 가지게 되었을 때 더 큰 행복으로 다가온다.

▲악기상점이 모여있는 서울 종로의 낙원상가(정용자 동년기자)
▲악기상점이 모여있는 서울 종로의 낙원상가(정용자 동년기자)

1970년대와 1980년대는 통기타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가수라면 너 나 할 것 없이 기타를 치던 시대였다. 특히 종로의 ‘쎄시봉’ 하면 떠오르는 가수 김세환이나 팝송을 번안해서 부르던 트윈폴리오의 윤형주와 송창식, 특유의 목소리로 여전히 왕성한 활동을 하는 양희은 등등의 인기는 지금의 빅뱅이나 방탄소년단 못지않았다. 종일 음악이 흐르는 다방에는 DJ가 있어서 신청곡을 즉석에서 틀어주기도 했고 여름만 되면 기타를 메거나 라디오를 손에 든 청춘들이 삼삼오오 기차를 올라타고 서울을 벗어나던 시대였다. 지금쯤 중년이 되었을 그 시대 청춘들.

첫 수업에서 A 코드와 E 코드를 배우고 동요 ‘비행기’를 쳤다. 단 두 개로 치는 거라 쉬워 보였는데 결코 쉬운 것이 아니었다. 손가락 세 개가 나란히 있는 코드 A에서 자연스레 코드 E로 넘어가는 것은 나에겐 ‘미션 임파서블(Mission Impossible)’이었다. 잘도 넘어가는 다른 분들을 보면서 자괴감보다는 ‘아마 예전에 하던 사람일 거야’ 하고 특유의 긍정적인 성격을 발동시켰다. 두 번째 수업에서도 나의 비행기는 바닥을 설설 기어갈 뿐 높이 뜨지 못했다. 함께 시작한 분들의 비행기는 대부분 높이 날아올라 강의실이 좁다고 허공을 뱅뱅 날아다니는데 가여운 나의 비행기는 슬쩍 뜨려다 멈칫멈칫 주저앉았다. 이유는 있다. 연습을 거의 못 했다. 못 뜨는 것이 당연하다.

“기타를 가방에 모셔두지 말고 꺼내놓고 자주 만져주세요. 그냥 한 번씩 안아주기만 해도 좋습니다. 지금은 여러분이 기타를 안아주지만 더 시간이 지나면 기타가 여러분들을 위로해주는 날이 옵니다.”

두 번쯤 수업을 들었을 때 강사님이 말했다. 이 얼마나 근사한 말인가? 기타가 나를 위로해 주다니! 더 신기한 건 그 말을 내가 이해했다는 것이다.

세 번째 수업까지도 아리송한 상태로 시간이 날 때마다 만져 주리라 하고는 거실에 기타를 꺼내두었다. 주말에 손녀가 오더니 이리 만지고 저리 만지는 장난감이 되었다. 띵 똥 거리며 소리가 나는 물건이 어린 눈에도 신기했나 보다. 기타를 처음 시작할 때 입문용으로 하다가 교체하는 게 좋다는 조언도 있었지만 물려 줄 꼬맹이를 염두에 둔 것도 있다. 비행기를 쳐 주니 전혀 엉뚱한 소음이 들린다. 음이 맞지 않았다. 튜닝기가 있어서 다행이었다.

▲기타를 장난감처럼 만지는 손녀(정용자 동년기자)
▲기타를 장난감처럼 만지는 손녀(정용자 동년기자)

네 번째 수업이다. 강사님이 세 번째 수업 즈음 7월 말경 ‘김광석 따라 부르기’가 있다면서 “우리도 한 곡 참여하죠?” 하더니 이내 “우리도 한 곡 하기로 했어요”로 바뀌었다.

“별로 어렵지 않아요. 코드 두세 개로만 하는 거라 연습하면 가능해요.”

‘물론... 연습만 열심히 하면, 물론 그렇겠죠.’ 모두 입을 쩍 벌리곤 고개를 절레절레(나와 같은)하거나, 깔깔대고 웃거나(틀림없이 예전에 좀 하던 분들이다) 했다. 실력을 떠나서 내가 좋아하는 김광석이라 일단은 좋다.

벌써 일곱 번째 수업이 진행되었다. 연습 부족인지 수업이 진행될수록 다른 분들과 격차가 생기는 느낌이다. 강사님이 말했다. “여러분! 연습 잘되고 있는 거죠? 이제 일주일 남았습니다.” ‘아니요! 아니요! 절대 연습 안 되고 있어요!!’라고 속으로만 외쳤다. 그도 그럴 것이 남들은 잘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 여러분 아주 잘하는데요! 이대로만 하면 되겠어요!” 합주를 하고 난 후 강사님이 말했다. 나도 잘한 것은 맞다. 오직 G 코드 하나만 누르고 그 순간에만 오른손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반복해서 합주를 하다 보니 나 같은 사람이 더 있는지 그 부분에서 유독 소리가 커졌다가 코드가 바뀌면 소리가 확 줄어드는 느낌이 든다. 합주를 마친 후 강사님은 “어 이상한데?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네요”라고 말했다. 모두 고개까지 젖혀가며 웃느라 정신이 없다. 강사님은 수강생들의 편법 연주를 이미 알고 있었다.

이제 더 이상 시간이 없다. 내가 좋아하는 김광석의 노래를 기타를 치며 부르고 싶다. 시간이 날 때마다 기타를 집어 든다. 아,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기타를 잘 치기엔 내 손은 너무나 작았다. 물론 다 핑계라고 할 수 있지만 동영상에서 가르쳐 주는 그 손동작이 나는 안 된다. 엄지손가락을 6번 줄 위에 멋지게 걸칠 수가 없다. 가늘고 긴 손가락이 피아노에서만 유리한 줄 알았더니 기타도 마찬가지였다. 감사한 것도 있었다. 내 손가락은 길이만 짧은 것이 아니라 가늘기도 했다. 남들보다 다른 줄을 건드릴 확률이 낮다. 역시 신은 공평하시다.

▲기타 수업에 열중하는 모습(정용자 동년기자)
▲기타 수업에 열중하는 모습(정용자 동년기자)

코드를 잡아 본다. C 코드, D 코드, E 코드. 비행기도 열심히 친다. 코드를 정확히 익히니 연결도 전보다 편하다. ‘하긴, 코드를 잘 모르는데 연결이 부드럽게 되기를 바라는 게 욕심이지’하고 스스로 반성도 한다. 어설프게 알다가 확실히 알게 되는 순간의 기쁨은 배움의 과정에 있어 본 사람이라면 다 알 것이다. 깜박이던 형광등에 반짝하고 불이 켜지면서 환해지는 느낌과 같다.

오늘도 밤늦도록 기타 코드를 잡는다. 비행기가 자연스레 되나 쳐보고 “오! 제대로 들린다!” 혼자 뿌듯해한다. 몸으로 하는 것은 자세를 바로잡으면 반은 성공이라는 생각에 동영상을 검색한다. ‘기타 칠 때 바른 자세’, ‘왕초보 기타 코드 배우기’, ‘자연스럽게 기타 코드 연결하기’ 등등. 신기하게도 인터넷에는 없는 것 빼고 다 있다.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동영상을 보면서 열심히 따라 해본다. 손가락 끝이 얼얼하다. 많이 연습한 증거라 그마저도 싫지 않다. 이리저리 자세를 바꿔보다가 비행기를 다시 친다. 귀에 들리는 소리가 전보다 좋다.

“이게 비행기로 들리니?” 거실에 나온 딸에게 비행기를 물었더니 “ 그럼, 그럼. 비행기로 들려! 엄마 이제 잘하네!” 하고는 웃는다. 어설프게나마 비행기 코드를 연결하게 된 내가 자랑스럽다. 진도를 높여 본다. 수업 중에 G 코드 하나만으로 껑충 연주를 했던 김광석의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의 악보를 펼친다. 처음엔 역시 G 코드다. 거북이처럼 목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이어지는 Em코드를 시도해 본다. 된다. 알고 보니 연결이 쉬운 코드였다. 엄청난 발전이다. 시간은 자정이 훌쩍 넘었다.

▲언젠가 위로를 안겨 줄 기타(정용자 동년기자)
▲언젠가 위로를 안겨 줄 기타(정용자 동년기자)

이러다 언젠가는 정말 기타에게 위로받는 날이 올 것만 같다. 기타를 배우노라고, 배워서 홍대 버스킹을 하는 게 꿈이라고 했더니 “에이, 버스킹은 힘들 걸요” 하던 젊은 선생님의 얼굴도 떠오른다. 꿈은 이루지 못하면 꿈에 머물지만 이루고 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첫 수업에서 난생처음 기타 코드를 잡았지만 이제는 비행기를 공중에 띄웠다. 가능성은 늘 열어두어야 한다. 혹시 아나? 앞으로 5년쯤 지나 혹은 그 이후에 어떤 머리카락 희끗한 할머니가 최고령 홍대 버스킹으로 신문에 날지,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불과 몇 개월 전만 해도 내 손으로 기타를 치며 비행기를 부르게 될지 몰랐으니까.

“떠~어~따 떠~어따 비~행~기~날~아~라~날~아~라~높~이 높~이 날~아라 우리 비행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노인은 욕구가 없단 편견이 문제 “건강한 성생활 하세요”
  • 일본판 “라면 먹고 갈래요?” 노년층 친구 찾는 방법은?
  • “나이 들어 아파도 거뜬하게” 중장년의 슬기로운 섹스 방법
  •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중년의 성생활, 터놓고 말합시다!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