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기생 진향이와 시인 백석의 사랑 이야기

기사입력 2018-03-13 16:45

▲기생 진향이와 시인 백석의 사랑이야기가 적힌 詩碑 (김영선 동년기자 )    
▲기생 진향이와 시인 백석의 사랑이야기가 적힌 詩碑 (김영선 동년기자 )   
지난 가을에 도시여행 해설가과정 교육을 받았는데, 그 교육에서 필자가 우리 조를 대표해서 해설을 맡게 되었다. 평소에 성북동에 대해, 아름다운 마을이라는 생각을 마음에 담아두고 있던 터라, 성북동을 해설하기로 정하고 답사를 갔다.

평소에 아담하고 아름답다고 입소문난 길상사엘 갔다. 경내를 둘러보다가 ‘길상화 보살’의 사당과 공덕비 앞에서 그만, 넋을 잃고 답사온 목적도 잊은 채, 한동안 멍하니 서 있었다. 그만 꽂혀버린 것이다.

필자가 필이 꽂힌 것은 한편의 시가 적힌 ‘시비(詩碑)’였다. 시비에는 기생 진향이와 시인 백석의 사랑 이야기가 새겨져 있었다. 필자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열정적인 뜨거운 사랑이나, 순애보적인 아름다운 사랑한번 변변히 해 본적이 없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사랑이야기만 들으면 정신을 못 차리고 푸욱 빠져 버리곤 한다.

필자가 푹 빠져버린 기생 진향이는 누구인가?

그는 1916년에 ‘김영한’이라는 이름의 한 여인으로 태어났다.

김영한은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16살에 '진향'이라는 이름으로 기생에 입문했다. 진향이 21살때  25살의 백석이라는 남자를 만나 사랑을 하게 된다. 그때 백석이 처음으로쓴 詩가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인데, 이 시에서의 나타샤는 백석이 사랑한 기생 진향이다.  25살 젊은 청년 백석의, 진향을 사랑하는 애절한 마음이 담겼다.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날인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이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燒酒)를 마신다 소주(燒酒)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힌당나귀 타고 산곬로 가쟈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곬로가 마가리에 살쟈 눈은 푹푹 날이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올리 없다 언제벌서 내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곬로 가는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눈은 푹푹 날이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힌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 응앙 울을 것이다                                    -1937년, 백석이 겨울에 쓴 최초의 원문-

✻ 마가리: 오두막집 출출이: 뱁새 고조곤히: 소리없이, 고요히 

아들이 기생과 사귀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백석의 부모가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켰다. 백석은 진향에게 만주로 가서 둘이 함께 살자고 했지만, 진향이 이를 거절한다. 백석은 홀로 만주로 떠났다. 그런데 6.25전쟁으로 인하여 남과 북이 갈라지는 바람에 두 사람은 다시는 만나볼 수 없게 된다.

그 후, 진향은 37살에 중앙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2년 뒤, 성북동 산골짜기에 땅을 사들여  ‘대원각’이라는 요정을 지어 경영하기 시작했다. 기생이란 옷을 벗고, 비로소 자신의 이름을 되찾아 ‘경영주 김영한’으로 새 삶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요정 대원각을 운영하던 김영한은 1987년, 법정스님의 저서 ‘무소유’를 읽고, 크게 감명을 받았다. 그는 법정스님을 찾아가 자신의 재산을 기부하여 많은 사람들을 위해 절을 짓게 해  달라고 간청했다. 법정스님은 그 청을 사양하였다. 김영한은 근 10년 가까이 법정스님을 찾아와 간곡히 부탁했고, 이에 법정스님이 그 청을 받아들여 요정 대원각이 사찰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1995년 ‘대법사’로 등록했다가 2년 후, 지금의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이름을 바꾸어 재등록하였다. 법정스님은 길상사의 창건 법회에서, 불문에 귀의한 김영한에게 ‘길상화(吉祥華)’라는 법명을 주었다.

기부할 당시의 대원각 재산은 싯가가 천억 원에 달했는데, 기자와 인터뷰를 할 때  "그 많은 재산을 모두 다 기부하는 것이 아깝지 않느냐"고 기자가 물었다. 이에 김영한은 "천 억은 백석 그 사람의 시 한 줄만도 못하다"고 대답했다. 그는 평생, 백석의 생일엔 식사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만큼 백석을 그리워했다.

1996년, 백석이 북한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3년 뒤 1999년 11월,  김영한은 자신의 유해를 눈이 오는 날, 길상사 경내에 뿌려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김영한은 떠나고 없지만, 길상사 경내의 길상헌 뒤쪽 작은 언덕에는 김영한의 사당과 함께, 그의 공덕비와 백석의 詩碑가 세워졌다.

사랑의 꽃씨 한 알 가슴에 품고, 일생을 ‘그리움’으로 고이고이 키워낸  꽃 한 송이 길상화(법명). 사람들이 천하게 여기던 기생이었지만, 자신의 삶을 사랑으로 숭고하게 승화시킨 참으로 아름다운 여인이다. 그가 기생 진향이에서 길상화 보살이 되기까지엔, 백석을 향한 그리움이 ‘삶의 원동력’이 되지 않았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노인은 욕구가 없단 편견이 문제 “건강한 성생활 하세요”
  • 일본판 “라면 먹고 갈래요?” 노년층 친구 찾는 방법은?
  • “나이 들어 아파도 거뜬하게” 중장년의 슬기로운 섹스 방법
  •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중년의 성생활, 터놓고 말합시다!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